기자 소개

서보원가좌초등학교

기자소개

저의 장점은 책보는 것입니다. 또한 운동을 즐겨합니다. 저의 단점은 조금 부끄럽지만 편식이 심해 부모님의 걱정이 많으시답니다.하지만 조금씩 노력하면서 고쳐가고 있는 중이랍니다. 제가 4기 푸른누리 기자가 된다면3기에 많이 해보지 못한 탐방들을 더욱 즐기면서 체험해보고 싶습니다. 말보다는 발로뛰는 최선을 다하는 서보원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신문소개

안녕하세요 푸른누리 서보원 기자입니다.3년동안 푸른누리 활동을 하면서 많은 기사들을 작성했습니다.푸른누리 활동은 저의 꿈을 향해 도전할수있는 계기를 만들어준 아주 소중한 시간들입니다.가장 기억에 남은 순간은 나의 롤 모델인 동화작가 선생님과의 인터뷰 시간으로 정했고 6년동안의 학교생활에 의미있는 시간들을 담아보았습니다. 그리고 푸른누리 활동을 하면서 나눔과 봉사를 배우면서 나만의 색깔과 꿈을 키워나가는 순으로 정했습니다.마지막으로 나의 소중한 시간들을 기억하며 나만의 신문을 만들어 간직하고 싶습니다.

전체기사 보기


리스트

서보원 기자 (가좌초등학교 / 4학년)

추천 : 14 / 조회수 : 385
HELLO 아프리카

2010년 5월 8일 두 번째 대안학교 HELLO 아프리카라는 주제로 아프리카 대륙, 나라와 지형, 물길, 기후, 동, 식물과 인구, 민족과 풍습, 산업 등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또한 코너 학습을 통해 아프리카를 향한 한걸음 더 다가가는 시간으로 함께 했습니다.





나라

아프리카에는 50개가 넘는 나라와 수백 종류의 민족이 있습니다. 언어는 1,000개가 넘는데 그 가운데 스와힐리어, 하우사어, 요루바어를 많이 쓰고 있어요. 북쪽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사하라 사막이 있습니다. 사막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깊은 강들이 흐르고 폭포들이 천둥소리를 내며 떨어집니다. 탁 트인 넓은 초원은 동아프리카에 펼쳐져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수많은 야생 동물 떼를 볼 수 있고 아프리카에서 가장 높은 산은 킬리만자로 산이랍니다.


물길

아프리카에는 큰 강이 네 개가 있는데 바로 나일강, 콩고강, 나이저강, 잠베지 강입니다. 나일강은 세계에서 가장 긴 강입니다. 르완다에서 북이집트까지 흘러 지중해로 들어가지요. 이 나일 강물은 강둑을 따라 펼쳐져 있는 농토를 푸르고 기름지게 가꾸어 줍니다.


기후

아주 메마른 사막 지역을 빼면 아프리카의 대부분은 열대기후에 들어갑니다. 언제나 덥고 비가 많이 오며 계절의 구분이 없습니다. 일 년에 한 두 차례 우는 우기에는 비가 아주 많이 내리고 바람은 해변에서 내륙쪽으로 붑니다.


동물

아프리카는 야생 세계로 이름나 있습니다. 사자 ,하이에나, 치타뿐만 아니라 얼룩말 같은 초식동물들 떼가 사바나 와 풀이 많은 평원에서 살고 있습니다. 하마와 악어들은 강이나 늪에서 살고 원숭이과 고릴라들은 덥고 습한 정글에서 살고 있습니다.


민족과 풍습

아프리카 사람들은 아주 현대적으로 살거나 아니면 여전히 전통적으로 살고 있습니다. 마아시족은 붉은 옷을 입고 코끼리 고기와 피를 먹습니다. 고양이족을 내 쫒으려고 붉은 옷을 입습니다. 또한 은데벌레족은 진흙으로 집을 짓고 색을 칠합니다. 그 외 도곤족은 장대춤을 추고 말리에 삽니다.


전통음식

아프리카 대륙은 광대하고 기후가 나타내기 때문에 각 부족의 생활방식이 다양해 음식문화가 존재합니다. 동아프리카 지역은 바나나를 주식으로 하는데 삶거나 쪄서 먹는데 우리나라의 감자의 중간정도 의 맛이 납니다. 케냐은 고원 지역으로 콩과 옥수수가 주식입니다. 차이는 홍차와 비승 우유와 설탕을 곁들여 마십니다. 아프리카 음식도 한국의 불고기처럼 세계적인 음식이 있습니다. 나마쵸라는 것인데 염소고기를 숯불에 구운 고기입니다.


관광지로는 아프리카 -킬로만자로, 이집트- 피라미드, 왕가의 계곡, 빅토리아 폭포, 케이프 타운 등이 있습니다.


아프리카의 특산물은 다이아몬드, 카카오, 커피, 사탕수수, 목화, 곡물 등이 있습니다.


아프리카 어린이들의 교육형편

아프리카는 대부분 교육비가 굉장히 비싸기 때문에 소수의 가진 자들만이 교육을 받습니다.

온갖 비리가 난무하는 아프리카에서는 국민들이 교육을 받고 똑똑해지면 집권층의 권력유지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교육비가 비싼 이유도 됩니다. 한 예로 사립고등학교 교육비는 우리나라의 6배 정도 됩니다.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구호물자도 중요하지만 올바른 교육제공이라고 봅니다. 이것만이 꿈과 희망이 있는 어린아이들에게 길이 있으리라 봅니다.


HUG 아프리카 코너학습 (소리)

아프리카의 음악은 악기를 두드리며 연주하는 것들이 많았습니다. 발라폰, 아프리카, 마라카스, 박칼림바 등의 악기를 새로 알게 됐습니다. 흥이 겹고 신나며 전통적입니다.


HUG 아프리카 코너학습 (놀이)

아프리카 어린이들은 비닐봉지로 축구공을 만들어 공놀이를 합니다. 때론 훌라후프도 합니다. 우리나라 어린이들의 놀이 모습과 비슷한 점도 있고 다른 점도 있습니다. 아프리카 친구들은 자연적으로 놀지만 우리는 컴퓨터 닌텐도 핸드폰 게임 등 전자기기를 이용한 놀이를 더 많이 한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HUG 아프리카 코너학습 (사랑)

저는 아프리카에서 초콜릿의 재료 카카오를 힘겹게 때는 장면을 보았습니다. 우리가 즐겨먹는 초콜릿이 만들어지기까지는 아주 힘들고 오랜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아프리카의 어린이들도 카카오를 따서 돈을 벌기 위해 또는 돈이 없어서 학교를 못 갑니다. 게다가 회사에서 가격을 정해주기 때문에 7%~15%밖에 못 번다고 합니다. 저는 이 영상을 보면서 마음이 아팠습니다. 이렇게 힘들게 생활하는 구나 싶어 제 자신이 조금은 부끄러웠습니다.



HUG 아프리카 코너학습 (색깔)

저는 흑인들에 대해서 어떤 편견들을 가지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피부색이 다르다는 이유로 좋지 않은 감정을 가졌습니다. 학교에 잘 다닐 수 없고, 나라의 살림이 어려워 어린 아이들도 일을 해야 한다니 참 안타까웠습니다.


아프리카 생활방식, 문화의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 직접 만들어 보고 두드려 보고 배워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한편으론 저의 무수한 반성의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너무나도 가난한 친구들. 그에 비해 너무나 가진 것도 많고 누리는 것도 많은 저 자신을 보면서 다시 한 번 제 자신을 반성하고 열심히 살겠다고 다짐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