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소개

김건리서울녹천초등학교

기자소개

안녕하세요?전 2013년에 6학년이될 여학생 김건리입니다. 저에게는 말썽꾸러기지만 귀엽고 사랑스런 남동생이 있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색깔은 연노랑,귤색,연분홍,연보라,하늘색등 연한색을 좋아합니다. 저의 장래희망은 가수 입니다. 음악쪽으로 배우는것은 드럼,피아노등 입니다. 또한 저의 취미는 노래부르기,춤추기,드럼치기,그림그리기등입니다. 특기도 노래부르기,춤추기,드럼치기,그림그리기등입니다. 제가 좋아하는 과일은 복숭아,귤,사과,배,딸기,바나나등입니다. 학교에서 푸른누리에 대해나오면 좀 자랑스러운것 같아요. 4,5학년때는 기사를 많이 못 썼지만 이번6학년에서는 4,5학년때보다 더욱 잘 써서 좋은 어린이 기자가 될것입니다. 파이팅!!

신문소개

우리가 이어갈 과거, 현재, 미래를 알아봅니다. 보신각은 과거에서부터 이어졌고 현재 우리나라를 지켜주는 국가정보원을 알아보고 미래에 이어줄 환경을 생각합니다.

전체기사 보기


리스트

김건리 기자 (녹천초등학교 / 4학년)

추천 : 3 / 조회수 : 445
최근 환경오염으로 기후변화가 일어난 사례

환경오염은 인간의 자연 파괴로 인한 지구의 오염입니다. 과학기술이 발달하고 생활이 편리해질수록 자연이 훼손되고 그로인한 기후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과도한 스프레이의 사용, 자동차 및 공장의 매연, 유조선 침몰, 무분별한 도시 개발로 인한 산림의 훼손 등으로 인해 오존층이 파괴되어 폭염으로 인한 해수온도 상승이나 농작물의 피해가 발생하고 가뭄으로 인한 피해가 늘고 있으며 극지방의 빙하는 매년 급속도로 녹아 해수면 상승이나 해류의 변화를 가져와 이상 기후를 만들며 이로 인해 세계 곳곳에 피해들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세계 곳곳의 환경오염으로 인해 기후변화가 일어난 사례를 조사해 보았습니다.

 

2003년 프랑스는 폭염으로 15,000명이 더위 때문에 숨졌습니다. 스페인 동해안에서는 바닷물 온도가 높아지며 해파리 떼가 몰려드는 바람에 피서객들이 대피하는 소동도 벌어졌습니다. 이탈리아 농무부는 쌀과 옥수수 재배가 타격을 받아 전체 농가 피해규모가 5억유로(약6,000억원) 정도 되었다고 합니다. 2006년 7월 아시아에서는 중국 남부를 강타한 태풍 빌리스로 인해 600여명이 숨지고 200여 명이 실종됐고 한반도 역시 집중호우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습니다. 일본에서도 가고시마현에서 5일간 1,200mm의 폭우로 사상자가 발생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대해서 영국 이스트 앵글리아 대학 필립 존슨 교수는 "지구가 점차 더위지고 있다는 사실은 해수면이 올라가고있다는 점에서도 증명된다. 현재 해수면은 매해 1.5mm상승하고 있으며 1800년대 후반 이후 거의 20cm가량 올라간 것으로 측정된다. 북극의 기온도 400년만에 가장 높은 상태이다. 해수 온도가 높아지면서 바닷물이 팽창하는 한편 빙산이 녹아 해수량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중국과학 아카데미는 “매년 7%씩 빙하가 줄고 있다”면서 “지금 추세라면 2016년에는 빙하가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해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2006년 5월 영국의 정부정책연구소는 “2080년까지 6,700만명 이상이 말라리아 감염으로 사망하는 등 아프리카대륙이 최대 피해 지역이 될 것”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의 일요판인 옵저버의 보도(2004년 2월22일자)에 따르면 이대로 간다면 심각한 기후변화로 20년 내에 각종 자연재해가 발생하고 각국이 식량과 물, 에너지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핵무장에 나서게 되면 전 세계가 전쟁과 대가뭄, 기근, 폭동 등으로 무정부 상태가 될 수 있다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수면 상승으로 네덜란드의 헤이그 등 유럽의 주요 해안도시들이 물에 잠기게 되고 빙하가 녹으면서 해류 순환에 변화가 일어나 2020년이 되면 영국과 북유럽은 시베리아성 기후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출처: 네이버 지식인

이장훈 국제문제애널리스트.( 2006년 8월 주간조선)
 

이렇듯 심각한 기온이상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어린이들이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을까요? 우리 생활 주변에서 찾아보았습니다.

 

가까운 거리는 자전거를 타거나 걸어서 가고 먼 곳은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이동합니다. 쓰지 않는 전기코드는 뽑아놓고 여름철엔 에어컨 사용을 줄입시다. 학교급식은 남기지 않고 먹을 만큼만 받아서 먹습니다. 산이나 바다에 놀러가서 쓰레기는 버리지 않고 가져오고 씻을 때는 물을 아껴 씁니다. 집에서는 쓰레기 분리수거를 잘하고 일회용품 사용을 최대한 줄이고 샴푸나 린스사용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이 밖에도 주위를 둘러보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많이 있을 겁니다.
우리는 아직 어려서 환경오염을 위해서 큰 일을 할 수는 없지만 이렇게 작은 일부터 실천하게 되면 분명히 환경오염을 막을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