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소개

이고은인천부평동초등학교

기자소개

저는 인천부평동초등학교에 다니는 4학년 이고은 입니다. 저의 꿈은 우리나라를 다른나라에 잘 알릴 수 있는 훌륭하고 멋진 외교관이 되는것입니다. 평소 독서하기와 글쓰기를 좋아하고 동시쓰는 것도 좋아합니다.과학글쓰기나 독서상도 여러차례 받았습니다.그리고 독서록과 일기장을 꾸준히 쓰고 그림,피아노치기,과학실험을 좋아합니다.또 운동중에는 줄넘기와 수영을 좋아합니다.그래서 수영을 2년째 꾸준히 배우고 있어요.또 호기심이 많아 무엇이든 쉽게 지나치지 않습니다.꼭 사전을 찾아보거나 실험을 해봐야 직성이 풀리는 아이입니다.저의 적극적이고 호기심많고 항상 매사에 최선을 다하는 모습에서 푸른누리 기지를 꼭 하고싶습니다. 열심히 활동하겠습니다.

신문소개

고은 기자의 꿈이 담긴 멋진 기사들입니다!~

전체기사 보기


리스트

이고은 기자 (인천부평동초등학교 / 4학년)

추천 : 5 / 조회수 : 161
단오에 대해 알아볼까요?

6월 24일(음력 5월 5일)은 단오입니다. 단오는 예로부터 설날, 한가위와 함께 3대 명절로 꼽힌다고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단오를 대수롭게 생각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올해의 단오만큼은 우리 조상들의 풍습을 알고 체험하는 뜻깊은 날로 보내는 것이 어떨까요? 지금부터 단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오의 ‘단’은 첫 번째를 의미하고, ‘오’는 낮, 태양을 가리키는 동시에 다섯 오와 뜻이 통하므로 단오는 초닷새를 뜻합니다. 특히 단옷날 하루 중에서 오시(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에 가장 기운이 활발하다고 하여 이 때 수리취나 쑥을 뜯어 떡을 만들어 먹거나 민속놀이를 즐겼다고 합니다.


첫 번째,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창포물에 머리 감기! 하지만 창포물에 왜 머리를 감는지는 자세히 모르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 이유는 이러합니다. 우리 조상들은 창포를 삶은 물로 머리를 감으면 귀신을 물리치고 복을 얻는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날이 더워질수록 머리를 감지 않으면 악취가 나거나 가려움이 심해지기 때문에 여름이 시작되기 직전에 머리를 감은 것입니다.


두 번째, 단오 전날에는 마을 청년들이 집집마다 돌며 짚을 모아 그네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단오에는 여자뿐만 아니라 남녀노소 모두 그네를 탔는데, 특히 외출이 자유롭지 않았던 부녀자들도 이날만큼은 밖에서 그네 뛰는 것이 허락되었다고 합니다.


세 번째, 설날은 떡국, 추석은 송편, 정월대보름에는 오곡밥, 동짓날에는 팥죽, 그렇다면 단옷날에는 무슨 음식을 먹었을까요? 단옷날에는 수리취떡이나 쑥떡을 먹었습니다. 단오는 ‘수릿날’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수레바퀴 모양이 찍힌 ‘수리취떡’에서 유래했습니다.


네 번째, 단오가 되면 왕이 부채를 신하들에게 나누어 주었는데, 이를 계기로 부채를 선물하는 풍습이 생겼다고 합니다. 그리고 다섯 가지 색깔의 실로 엮어 만든 ‘장명루’라는 팔찌도 만들었는데, 귀신을 물리치고 실처럼 길게, 오래 살라는 의미가 담겨져 있습니다.


향긋한 창포물에 머리 감기

1.냄비에 물 10컵을 담고 깨끗이 씻은 창포 50g을 넣어 강한 불로 삶습니다. (창포는 ‘창포체험마을’ 등에서 인터넷이나 전화로 주문할 수 있습니다.)
2.물이 팔팔 끓기 시작하면 10정도 더 삶는 다음, 창포를 체에 걸러 대야에 창포물만 담습니다.
3.창포물 완성! 온도가 적당해질 때까지 식힙니다.
4.샴푸로 머리를 감은 뒤 마지막에 창포물로 행굽니다. 처음에는 뻣뻣한 느낌이 들지만, 마르면서 머릿결이 부드러워집니다.


기자는 처음에 단옷날을 특별하게 생각하지 않았는데, 이제 보니 단옷날에도 할 수 있는 것이 많아 깜짝 놀랐습니다. 이제 단오를 알았으니 창포물에 머리도 감고 쑥떡도 만들고 재밌게 지내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