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소개

김동훈서울흑석초등학교

기자소개

저는 흑석초등학교 5학년이 되는 김동훈 입니다. 제가 좋아하는 것은 레고 와 해리포터, 축구와 과학입니다. 레고로 만들기를 너무나 좋아해서 산타할아버지께 꼭 레고를 사달라고 기도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올해는 레고를 만든 사람을 인터뷰 해보고 싶기도 합니다. 해리포터는 제가 너무너무 좋아하는 책과 영화입니다. 너무너무 좋아해서 몇번이나 봐서 다 외울 정도입니다. 저는 일주일에 3번 축구를 합니다. 축구를 하면 기분이 좋아지고 행복해집니다. 앞으로도 축구를 계속할 생각이지만 부모님께서는 미래를 위해서는 공부가 더 쉽다고 하십니다. 아직 어리니까 뭐든 해보면 좋은 결과가 있을 거라고 말씀하시기도 합니다. 그래도 저는 축구가 너무 너무 좋습니다. 메시나 박지성을 많이 많이 좋아합니다. 그래서 그런 축구선수가 되고 싶습니다. 저에게는 귀여운 동생이 두명 있습니다. 사실 매우 말썽꾸러기 입니다. 우리는 삼형제인데 사람들이 모두들 부러워 합니다. 집에 늘 친구가 있는 것 같아서 좋습니다. 저는 앞으로 좋은 형, 좋은 친구가 되는 멋진 푸른누리 기자가 되고 싶습니다.

신문소개

첫번째 주제는 제가 다녀온 탐방 중 가장 기억에 남는 탐방으로 나로호의 박철 연구원님에 관한 기사와 사춘기에 대한 설문조사로 부모님을 조금이나마 이해하려고 했던 기사입니다. 두번째 주제는 2012년에는 과학에 대한 여러가지 행사가 많이 있었는데 그 행사에 참여하면서 알게된것들과 그것들에 대한 기사 입니다. 나머지 자료에는 역사와 각종 탐방에 자료들과 동시를 모아보았습니다.

전체기사 보기


리스트

김동훈 기자 (서울흑석초등학교 / 5학년)

추천 : 46 / 조회수 : 827
사춘기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

사춘기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지난 8월 16일, 흑석초등학교 5학년, 6학년생들과 학부모님 11명에게 스마트폰 메신저를 이용해 사춘기에 대해 물어 보았습니다. 그런데 정말 신기한 대답이 나왔습니다. 본인이 사춘기인지를 묻는 질문에 학생들은 대부분이 아직 ‘아니다’라고 말했고, 많은 학부모님들은 내 아이가 이미 사춘기에 있거나, 혹은 사춘기에 거의 다 왔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학생들은 모두 사춘기가 아니라고 하는데, 왜 부모님들은 아이들이 사춘기라고 생각할까요? 아마도 직접 사춘기를 겪는 학생들보다는 부모님들이 아이들의 사춘기를 먼저 느끼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인지 신기하게도 학생들이 자신은 사춘기가 아니라고 말해도, 부모님들이 먼저 사춘기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부모님들이 사춘기가 온 아이들을 구별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모에게 말대답을 자주 하거나 외모에 관심을 보이는 것, 부모의 질문에 대답을 하지 않거나 우리가 부당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따지는 것, 그리고 외모를 꾸미거나 이성에게 관심을 보이면 사춘기가 왔다고 생각하곤 합니다.

부모님들께서는 대부분 사춘기에 성적이 떨어졌다고 말씀하셨고, 그때는 친구가 가장 큰 힘이 되었다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설문조사해주신 부모님들께서는 아이들이 사춘기에 방황을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자존감을 가졌으면 좋겠다. 사춘기를 짧게 보냈으면 좋겠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생각하는 사춘기보다, 먼저 우리들의 사춘기를 바라보시는 부모님을 이해해드리는 것이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이들과 부모님들이 함께 사춘기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는 자리를 만드는 것, 그것이 사춘기를 보내는 가장 좋은 방법이 아니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