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소개

민상원대전샘머리초등학교

기자소개

대한민국의 평범한 6학년입니다. 학교와 학원 공부를 열심히 하고 성실맨입니다. 책 읽기를 좋아하는데 특히 영어책 읽기를 좋아합니다. 외교관이 꿈이기 때문에 영어 공부를 열심히 합니다. 가끔 친구들과 싸우기도 하지만 친구와의 우정을 소중히 여깁니다. 올해 푸른누리 기자 활동도 열심히 하겠습니다.

신문소개

생활 속에서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되는 정보, 가족과 함께 체험할 수 있는 장소, 여러 기관에서 하는 일 등을 담고 있습니다.

전체기사 보기


리스트

민상원 기자 (대전샘머리초등학교 / 6학년)

추천 : 27 / 조회수 : 698
통계로 미래를 예측할 수 있어요!

8월 27일, 푸른누리 기자단은 통계교육원과 통계청으로 취재를 다녀왔습니다. 먼저 취재 일정에 대하여 설명을 듣고 통계교육원 국제회의실에서 김정란 교수님께 통계청에 대하여 설명을 들었습니다.

통계청은 통계 자료 처리에 관한 사무를 담당하는 기획재정부 산하 국가중앙통계기관입니다. 통계 자료를 가지고 여러 가지 계획을 세워야하기 때문에 국가에 꼭 필요한 기관이라고 합니다. 통계정보국에서는 정보화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정보를 만듭니다. 그러면 자료 수집은 지방통계청에서 합니다. 수집된 자료를 통계청 직원들이 통계를 내면, 대변인실에서 뉴스 등으로 통계자료를 배포한다고 합니다.

통계정책국에서는 통계가 정부에 어떻게 반영되는지에 관련된 일을 하는데, 통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문제가 있어야 합니다. 문제가 파악되면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한 자료를 분석해서 통계를 냅니다. 그리고 결과를 해석해서 적절한 해결책을 찾습니다. 따라서 통계청은 하나의 통계 수치로 미래의 상황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통계청에 대한 설명을 들은 후 통계전시관을 관람하였습니다. 통계전시관에는 통계의 역사, 통계 만드는 과정, 통계를 내는데 사용했던 기계들, 통계 관련 옛날 자료 등이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푸른누리 기자단은 통계교육원에서 점심을 먹고 대전정부청사에 있는 통계청을 방문하였습니다. 그곳에서 우기종 통계청장님과 인터뷰를 했습니다. 다음은 통계청장님과의 인터뷰 내용입니다.

Q : 통계청은 언제 설립되었나요?
A :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을 때 같이 만들어졌습니다.

Q : 통계청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통계를 내나요?
A : 통계청 직원이 사업체를 방문하거나 집을 방문하여 얻은 정보를 가지고 통계를 냅니다. 가끔 전화나 이메일로 조사하기도 합니다.

Q : 우리나라 인구조사는 5년 또는 10년마다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매년 우리나라 총인구가 얼마라는 얘기를 하는데 어떻게 조사해서 발표하나요?
A : 인구조사는 인구가 변하는 것을 측정하기 위해서 합니다. 그래야 나라를 운영하는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인구조사는 통계청 직원이 집을 방문해서 조사하거나 인터넷으로 조사를 합니다.

Q : 통계청에서는 일 년에 얼마나 많은 통계자료를 만들고 있나요? 필요한 자료를 조사할 때 몇 명의 사람들이 일을 하나요?
A : 통계청에서는 10년에 한 번 하는 조사도 있고 월마다 하는 조사도 있습니다. 그래서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합니다. 통계청에는 3,100명의 직원이 일을 합니다. 그 중 2,400명 정도는 집집마다 직접 방문해서 조사를 합니다.

Q : 통계는 숫자로 되어 있어 수학을 잘해야 할 것 같아요. 통계를 잘하려면 무엇을 공부해야 하나요?
A : 통계는 초, 중, 고등학교 수학만 배워도 할 수 있어서 수학을 특별히 잘하지 않아도 할 수 있습니다.

Q : 통계청에 어린이들이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나요?
A : 통계에 대한 중요성을 알려주고 관심을 갖게 하려고 ‘어린이 통계 캠프’를 개최하였습니다. 통계청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어린이 통계 동산’이 있습니다. 어린이들이 통계를 쉽게 재미있게 알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통계로 보는 자화상은 자신의 나이, 키, 몸무게를 넣으면 다른 어린이들의 통계 자료와 비교할 수 있어 많은 정보를 줍니다.

기자는 이번 취재를 통해서 통계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되었습니다. 특히 지금의 통계 수치를 보면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는 사실이 정말 놀라웠습니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는 출산율이 아주 낮다고 합니다. 출산율이 낮으면 일할 수 있는 사람들이 적어지게 됩니다. 일할 사람들이 적으면 나랏돈이 부족해지는데, 국민들을 위해 쓸 돈이 없으면 국민들의 생활이 나빠질 것입니다. 그래서 국가에서는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국민들에게 아이들을 많이 낳으라고 홍보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앞으로는 우리들이 통계 자료 조사에 답할 때 좀 더 신중하게 대답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의 답변에 대한민국의 정책이 바뀌고, 우리의 미래가 바뀔 수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