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소개

이고은인천부평동초등학교

기자소개

저는 인천부평동초등학교에 다니는 4학년 이고은 입니다. 저의 꿈은 우리나라를 다른나라에 잘 알릴 수 있는 훌륭하고 멋진 외교관이 되는것입니다. 평소 독서하기와 글쓰기를 좋아하고 동시쓰는 것도 좋아합니다.과학글쓰기나 독서상도 여러차례 받았습니다.그리고 독서록과 일기장을 꾸준히 쓰고 그림,피아노치기,과학실험을 좋아합니다.또 운동중에는 줄넘기와 수영을 좋아합니다.그래서 수영을 2년째 꾸준히 배우고 있어요.또 호기심이 많아 무엇이든 쉽게 지나치지 않습니다.꼭 사전을 찾아보거나 실험을 해봐야 직성이 풀리는 아이입니다.저의 적극적이고 호기심많고 항상 매사에 최선을 다하는 모습에서 푸른누리 기지를 꼭 하고싶습니다. 열심히 활동하겠습니다.

신문소개

고은 기자의 꿈이 담긴 멋진 기사들입니다!~

전체기사 보기


리스트

이고은 기자 (인천부평동초등학교 / 4학년)

추천 : 2 / 조회수 : 131
인천의 명소 차이나타운으로 출동!

인천 하면 인천국제공항, 월미도, 송도국제도시 등이 생각나지만 역시 차이나타운도 빠질 수 없다. 그래서 기자는 인천을 대표하는 것을 차이나타운으로 정하고 취재하러 가기로 했다.

지난 9월 9일, 취재를 위해 차이나타운을 찾았다. 작년에 아람단에서 차이나타운을 가보았지만 다시 찾아와보니 기분이 새로웠다. 기자는 제일 먼저 가고 싶었던 ‘삼국지 거리’를 가보았다.

삼국지 거리는 삼국지의 내용을 벽에 그림으로 그려서 걸으면서 삼국지를 볼 수 있도록 해놓은 거리다. 제일 기억에 남는 것은 ‘도원결의’다. 도원결의란, 유비, 관우, 장비가 복숭아 나무 밑, 즉 도원에서 의형제를 맺었다는 이야기에서 비롯된 말로, 뜻이 맞은 사람끼리 하나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행동을 같이 할 것을 약속한다는 뜻이라고 한다. 삼국지 거리에는 삼국지 내용이 많이 나와 있었고, 그림도 구경할 겸 가족과 함께 가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기자는 삼국지 거리를 걷다가 ‘짜장면 박물관’이라는 곳에 갔다. 짜장면 박물관에는 짜장면의 역사가 담겨있었다. 요즘에는 철가방이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졌지만 옛날에는 나무로 만들어져 있었다고 한다. 그러다보니 음식물의 국물이 흐르면서 나무가 썩게 되어, 계속 철가방을 다시 만들어야 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금의 알루미늄으로 다시 만들게 되었다고 했다.

기자의 엄마께서 옛날에는 짜장면을 500원 정도에 팔았다고 하셨다. 그 당시에는 아이들이 제일 좋아하는 음식이 짜장면이었을 정도로 짜장면은 인기가 많았었다고 한다. 다음은 짜장면의 종류에 대한 소개다.

먼저 간짜장은 생춘장과 야채, 고기 등을 물 없이 볶는 것이다. 약간 탄 듯 한 맛이 난다고 하지만, 씹는 맛이 좋다. 다음으로 쟁반짜장은 면과 짜장, 해산물 등을 토핑식으로 해서 같이 볶는 것이다. 육수는 일반 짜장에 비해서 적게 하고 약간 빡빡한 느낌이 들게끔 해서 쟁반 같은 그릇에 담는다. 사천짜장은 중국 사천지방 스타일의 매운 짜장면이다. 유니짜장은 육은 돼지고기, 니는 ‘갈다’라는 뜻이라고 한다. 그래서 돼지고기를 잘게 다지거나 갈아서 만든 것으로 고기 맛이 짜장면 전체에서 풍긴다. 삼선짜장은 기본 짜장 이외에 다른 세 가지 종류가 들어간다 해서 삼선이다. 삼선의 종류는 각 가게마다 다르다. 보통 닭고기, 죽순, 새우, 해삼, 전복, 오징어, 버섯 등이 삼선에 해당한다. 수타짜장은 면을 손으로 쳐서 만든 짜장면을 말하고, 해물짜장은 해물이 들어간 짜장면으로 보통 작은 새우나 오징어, 홍합 등 짬뽕 재료가 들어간다. 마지막으로 볶음짜장은 짜장 자체를 볶아서 만든 짜장면이다. 이 밖에도 여러 종류의 짜장면이 많이 있다고 한다. 기자는 기회가 되면 사천짜장을 한 번 먹어보고 싶다.

그 다음으로 간 곳은 자유공원이었다. 삼국지 거리로 쭉 길을 따라 걸어가다 보면 자유공원이 나온다. 차이나타운과 가까워서 시간이 되면 가족과 함께 놀러가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자유공원에 들어서니 맨 처음 위풍당당하게 서있는 맥아더 장군 동상이 보였다. 맥아더 장군은 인천상륙작전으로 유명하다.

전망대에서 보니 연안부두가 한 눈에 보였다. 푸른누리 기자들도 주말에 가족과 함께 차이나타운에 와서 짜장면의 역사도 알아보고, 다양한 문화 체험을 하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