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소개

김동훈서울흑석초등학교

기자소개

저는 흑석초등학교 5학년이 되는 김동훈 입니다. 제가 좋아하는 것은 레고 와 해리포터, 축구와 과학입니다. 레고로 만들기를 너무나 좋아해서 산타할아버지께 꼭 레고를 사달라고 기도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올해는 레고를 만든 사람을 인터뷰 해보고 싶기도 합니다. 해리포터는 제가 너무너무 좋아하는 책과 영화입니다. 너무너무 좋아해서 몇번이나 봐서 다 외울 정도입니다. 저는 일주일에 3번 축구를 합니다. 축구를 하면 기분이 좋아지고 행복해집니다. 앞으로도 축구를 계속할 생각이지만 부모님께서는 미래를 위해서는 공부가 더 쉽다고 하십니다. 아직 어리니까 뭐든 해보면 좋은 결과가 있을 거라고 말씀하시기도 합니다. 그래도 저는 축구가 너무 너무 좋습니다. 메시나 박지성을 많이 많이 좋아합니다. 그래서 그런 축구선수가 되고 싶습니다. 저에게는 귀여운 동생이 두명 있습니다. 사실 매우 말썽꾸러기 입니다. 우리는 삼형제인데 사람들이 모두들 부러워 합니다. 집에 늘 친구가 있는 것 같아서 좋습니다. 저는 앞으로 좋은 형, 좋은 친구가 되는 멋진 푸른누리 기자가 되고 싶습니다.

신문소개

첫번째 주제는 제가 다녀온 탐방 중 가장 기억에 남는 탐방으로 나로호의 박철 연구원님에 관한 기사와 사춘기에 대한 설문조사로 부모님을 조금이나마 이해하려고 했던 기사입니다. 두번째 주제는 2012년에는 과학에 대한 여러가지 행사가 많이 있었는데 그 행사에 참여하면서 알게된것들과 그것들에 대한 기사 입니다. 나머지 자료에는 역사와 각종 탐방에 자료들과 동시를 모아보았습니다.

전체기사 보기


리스트

김동훈 기자 (서울흑석초등학교 / 5학년)

추천 : 19 / 조회수 : 739
생활 곳곳 점자의 비밀

지하철이나 길을 가다가 시각장애인들이 걸어갈 때 지팡이를 두드리며 걷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눈이 안 보이는데도 혼자서 지하철도 타고 엉뚱한 곳으로 가지도 않고 잘 가는 것을 보면서 신기한 생각을 하였는데, 그 이유는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노란 길이 있기 때문입니다.

아침에 학교에 가다가 노란 점자 길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문득 ‘어차피 눈이 안 보이는 사람들이 이용하는 것인데 왜 노란색으로 했지? 색깔을 구분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이용할 텐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고 보니 지하철역까지 그 점자 길이 이어져 있었습니다. 왜 그럴까 생각하다가 인터넷에서 자료를 찾아보니 노란색으로 칠해진 올록볼록한 그 것이 ‘점자블록’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시각장애인의 기준은 시력이 0.04미만인 사람을 말한다고 합니다. 전혀 안 보이는 경우도 있지만 빛의 정도를 구분할 수 있는 사람들도 있어서, 눈에 잘 띄는 색으로 노랑을 선택했다고 합니다. 또한 일반인들도 점자블록을 피해가기 쉽도록 노란색으로 해두었다고 합니다. 그동안 아무 생각 없이 노란 길을 걸었던 기자는 점자블록의 의미를 알고 부끄러워졌습니다.

지하철이나 대중교통시설에만 있는 줄 알았던 점자들은 엘리베이터에도 있고, 또 음료수 병에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마시는 음료수 캔의 윗부분을 보면 점자가 찍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동안 그 모양이 점자인 줄 몰랐는데 알고 보니 무척 신기하였습니다. 또 유리 음료수병에도 아랫부분에 오돌도돌한 부분이 만져지는데 그것이 바로 점자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한글로 점자를 만든 분은 박두성 선생님이라고 합니다. ‘눈이 보이지 않으면 마음이 닫히고 세상도 닫힌다.’고 생각하신 박두성 선생님이 7년간 만드신 63개 한글점자를 ‘훈맹정음’이라고 한다고 합니다. 일본통치하에서 일본어로 된 점자를 당시 비밀리에 만들어서 1926년 11월 4일 세종대왕께서 훈민정음을 발표하신 날에 맞추어서 발표했다고 합니다. 일본인들 조선어 말살정책에 항거하여 한글을 지켜내며 훈맹정음을 발표하여 시각 장애인들의 한글을 지킨 것입니다.

점자는 다른 말로 시각장애인용 기호 문자라고 합니다. 3개의 점이 세로로 두 줄로 된 6개의 점으로 문자를 표현한다고 합니다. 인터넷에서 점자세상 사이트 (http://www.braillrkorea.org)에 가보면 한글 점자일람표를 볼 수 있습니다. 영어도 있고, 한자도 있다고 합니다. 그것을 찾아서 본 기자의 이름과 ‘푸른누리’도 한번 써보았습니다.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습니다. 점자를 알아두면 나중에 필요한 사람들에게 가르쳐 줄 수도 있고, 혹시라도 잘못된 글을 고쳐 줄 수 있을 것 같아서 배워두면 좋을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