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소개

김동훈서울흑석초등학교

기자소개

저는 흑석초등학교 5학년이 되는 김동훈 입니다. 제가 좋아하는 것은 레고 와 해리포터, 축구와 과학입니다. 레고로 만들기를 너무나 좋아해서 산타할아버지께 꼭 레고를 사달라고 기도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올해는 레고를 만든 사람을 인터뷰 해보고 싶기도 합니다. 해리포터는 제가 너무너무 좋아하는 책과 영화입니다. 너무너무 좋아해서 몇번이나 봐서 다 외울 정도입니다. 저는 일주일에 3번 축구를 합니다. 축구를 하면 기분이 좋아지고 행복해집니다. 앞으로도 축구를 계속할 생각이지만 부모님께서는 미래를 위해서는 공부가 더 쉽다고 하십니다. 아직 어리니까 뭐든 해보면 좋은 결과가 있을 거라고 말씀하시기도 합니다. 그래도 저는 축구가 너무 너무 좋습니다. 메시나 박지성을 많이 많이 좋아합니다. 그래서 그런 축구선수가 되고 싶습니다. 저에게는 귀여운 동생이 두명 있습니다. 사실 매우 말썽꾸러기 입니다. 우리는 삼형제인데 사람들이 모두들 부러워 합니다. 집에 늘 친구가 있는 것 같아서 좋습니다. 저는 앞으로 좋은 형, 좋은 친구가 되는 멋진 푸른누리 기자가 되고 싶습니다.

신문소개

첫번째 주제는 제가 다녀온 탐방 중 가장 기억에 남는 탐방으로 나로호의 박철 연구원님에 관한 기사와 사춘기에 대한 설문조사로 부모님을 조금이나마 이해하려고 했던 기사입니다. 두번째 주제는 2012년에는 과학에 대한 여러가지 행사가 많이 있었는데 그 행사에 참여하면서 알게된것들과 그것들에 대한 기사 입니다. 나머지 자료에는 역사와 각종 탐방에 자료들과 동시를 모아보았습니다.

전체기사 보기


리스트

김동훈 기자 (서울흑석초등학교 / 5학년)

추천 : 9 / 조회수 : 138
나의 100번째 기사

‘100’이라는 숫자는 왠지 특별합니다. 시험에서 100점을 맞으면 우리는 무척 기뻐합니다. 또 100이라는 숫자가 특별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아기가 태어나면 백일 잔치를 하고, 할머니, 할아버지께는 백년 이상 건강하시라고 인사를 하는 것 같습니다. 유명한 대학교에 가면 100주년 기념관이 꼭 있고, 텔레비전 유명 프로그램도 100회 특집 방송을 하는 것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100’이라고 하면 뭔가 부족함 없이 꽉 찬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또 뭔가를 해냈다는 성취감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기자는 ‘100’이라는 숫자를 보면, 맨 먼저 100점, 100원, 100만원, 100km 같은 단위가 생각납니다. 그래서 푸른누리 누리집 속에 숨어있는 ‘100’이라는 숫자를 찾아보기로 했습니다. 알림마당의 100번째 글은 무엇인지, 편집회의실의 100번째 글은 무엇인지, 그리고 편집후기의 100번째 글은 무엇인지도 궁금해졌습니다. 또 기자가 100번째로 쓴 기사도 찾아보았습니다.

기사작성방에서 확인한 기자의 100번째 기사는 2012년 8월 18일에 쓴 ‘사춘기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라는 글입니다. 이는 흑석초 친구들과 친구들의 부모님께 설문조사를 하여 작성한 기사였습니다. 부모님들은 우리들이 사춘기라는 것을 우리들보다 더 빨리 느끼시는 것 같고, 그 이유는 우리들이 외모에 부쩍 신경을 쓰거나 부모님의 말에 대답을 하지 않는 모습을 보기 때문이라고 하셨습니다. 또한 말대꾸를 하거나 이성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 사춘기가 왔다고 느낀다고 하십니다. 또 부모님은 사춘기가 왔다고 느끼시지만, 우리는 아직 사춘기가 온 것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아, 그 차이에 대해 조사해본 기사였습니다.

편집후기의 100번째 글은 2009년 임채원 기자님이 쓴 ‘대통령님 연설’이라는 글로, 아침에 대통령 할아버지의 연설을 보았다는 내용이었습니다.

편집회의실의 100번째 글은 ‘[re]송석하 부모님 답변입니다.’라는 글이었습니다. 푸른누리 등록을 하는데 비밀번호가 틀려서 등록이 안 된다는 내용에 대한 답변이었습니다.

알림마당의 100번째 기사는 ‘홍명보 축구선수를 아시나요?’라는 글로, 홍명보 감독님을 만나는 탐방 취재를 할 기자들을 모집하는 글이었습니다. 13년 동안 우리나라 국가대표로 활동하였고, 2002년 한일월드컵 당시에는 우리나라 국가대표팀의 주장으로 4강 신화를 이끌어 전 국민의 사랑을 받은 선수가 바로 홍명보 감독입니다. 또한 ‘아시아 최고의 리베로’, ‘동양의 베켄 바우어’ 등의 찬사를 받은 홍명보 감독을 직접 만나본 소감은 어땠는지 궁금해지는 공지였습니다.

‘100’이라는 숫자가 붙어있는 푸른누리의 글들을 찾아보다보니, 푸른누리 기자단이 좀 더 오래오래 이어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기사를 작성하며 찾아본 결과, 100번째 글들은 거의 2009년도에 작성된 것이었는데 현재 편집회의실의 게시물 수는 이미 35,000건을 넘었고, 알림마당의 공지도 1,000건을 넘었습니다. 편집 후기도 이미 7,000건을 넘었습니다.

이번 호가 푸른누리 신문 100호라는 것이 너무나 자랑스럽고, 우리들의 푸른누리 신문이 1,000호까지 발행될 수 있다면 정말로 행복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