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소개

양정엽호수초등학교

기자소개

안녕하세요.

저는 호수초등학교에 재학중인 양 정엽 입니다.

저는 역사,유물,과학을 특히 좋아하고 고서적을 가지는 것이 제 소망중 하나 입니다.

평상시에는 그림그리기와 책읽기를 좋아하고 남자 이지만 감성이 풍부하고 예의가 바르다는 소리를 듣는편 입니다. 물론 남자답게 운동하는것도 좋아 합니다.

요즘은 어릴때 좋아하던 레고에 다시 관심이 생겨 큰 레고를 조립하고 있습니다. 또 우주과학과 환경문제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어서 천문대 견학과 우주항공연구원이신‘채연석박사님을 인터뷰 하기도 했습니다. 우주와 별도 좋아해 앞으로 기사를 써 보려고 합니다. ‘청소년녹색홍보대사’로도 활동해 환경문제가 심각하다는 것도 알게되어 기사로 푸른누리에 알렸습니다. ‘샘 게로비치’호주대사님 인터뷰도 기억에 남고 호주에 대해 잘 알게 되어서 좋았습니다.

저는 푸른누리2기에 으뜸기자가 되었고 지금 3기에도 으뜸기자가 되고싶습니다. 푸른누리4기의 목표도 2012년을 알차게 보내어 꼭 으뜸기자가 되는것 입니다.

4기에도 성실하고 열심히 활동하는 푸른누리 기자가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신문소개

본 기자가 평소 관심이 많았던 우주와 환경을 중점으로 편집했습니다. 첫번째는 직접만나 많은 것을 배울수 있었던 채연석 박사님과 샘게로비치 대사님의 인터뷰를 실었습니다. 두번째에는 기자가 직접 탐방 취재한 것을 중심으로 편집했습니다. 세번째에는 환경 부분으로 방사능, 지구온난화등을 소재로 쓴 기사를 올렸습니다. 또한 마지막에는 동화, 만화, 동시등으로 나누었습니다. 본 기자의 신문을 통해 푸른누리 여러분과 함께 꿈을 이루고 깨끗한 환경을 위해 우리모두 노력해요~

전체기사 보기


리스트

양정엽 기자 (호수초등학교 / 5학년)

추천 : 46 / 조회수 : 137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채연석박사님을 만나다

지난 4월 25일 설레는 마음으로 우리나라의 신기전을 발굴, 복원을 하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채연석 박사님을 만났습니다. 박사님과 즐거운 마음으로 인사를 나누고 질문 등을 하며 저녁만찬을 함께 했습니다. 박사님께서는 제게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연구하면서 신기전을 발굴하고 복원한 것이 가장 보람있는 일이라고 말씀해주셨습니다.


‘신기전’은 조선시대에 나타난 로켓추진 화살로 1448년 세종 30년에 사용된 무기입니다. 채연석 박사님은 어릴때부터 로켓에 관심이 많았고, 역사를 배우다 고려시대의 최초 로켓인 최무선 장군의 주화를 알게 되어 관심을 갖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때부터 본격적으로 연구를 하다 신기전을 발굴, 복원하게 되었습니다.

신기전을 발굴하기 전, 박사님은 보통 사람들과 생각을 다르게 했기에 발굴과 복원을 할 수 있던 것이라고 했습니다. 처음에 신기전을 발굴했을 때는 설계도만 있고 어떤 재료로 어떻게 만드는지 적혀있지 않아서 여러 차례의 실패를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좌절하지 않고 여러 번의 도전으로 복원하게 되었습니다.


박사님은 어릴 때부터 로켓을 좋아하고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고등학교 1학년 때 로켓을 직접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발사를 하다가 한쪽 고막을 잃었다고 해 저는 깜짝 놀라기도 했습니다. 박사님은 발명이나 발견은 단순한 상상에서 시작된다고 했습니다. 이런 것을 보았을 때 박사님은 정말 대단하신 것 같습니다! 박사님께서 요즘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은 ‘미래의 로켓’이라고 합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대해 들은 것 중에서 조금 황당하고 재미있었던 점은 4라는 숫자가 들어가는 우주선이나 인공위성을 만들지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 그 이유는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것처럼 4자가 ‘죽을 사’라는 한자 발음 때문에 불길한 숫자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신기전 발굴과 복원 이외에 채연석 박사님께 궁금한 질문을 드려보았습니다.


양정엽 기자: 요즘은 스마트폰이 대세라지요. 박사님, 스마트폰 만드는 기술을 우주선이나 인공위성 만드는 데 쓰일 수 있나요?

채연석 박사님: 스마트폰 만드는 기술이 쓰일 수는 있지만 핸드폰은 공기가 있는 상태에서 작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기술을 진공상태에서도 쓰일 수 있겠끔 변형시켜야 합니다.


양정엽 기자: 제가 우주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가장 큰 이유중 하나는 우주에 외계인이 살까?입니다.

채연석 박사님: 없을 것 입니다. 그 이유는 지구처럼 태양의 빛을 막아주는 대기권이 많지 않고, 또 대기권이 있더라도 생물이 살 수 있는 조건이 맞아야 합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별이 더 많지요. 또한 태양과 같이 빛을 내는 행성과의 거리가 일정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옛날부터 이 드넓은 우주에 우리 이외에도 또 다른 생명체가 있을 것 같다고 생각을 했었습니다. 하지만 박사님의 명쾌한 설명을 듣고 외계인이 없는 것이 조금 아쉬웠지만 사실을 정확히 알게 되어 좋았습니다. 박사님과의 귀중한 시간을 마치고 박사님께서 박사님이 쓰신 책에 싸인을 해주셨습니다. 마지막으로 박사님께서 악수를 해주며 "너의 꿈을 위해 포기하지 말고 앞으로 나아가라"고 격려를 해주었습니다.


박사님과의 시간은 그동안 제가 궁금했던 우주의 수수께끼를 조금씩 알아갈 수 있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또, 제 꿈을 위해 성실하게 나아갈 수 있는 끈기와 용기를 일깨워주었습니다. 채연석 박사님께서 어려운 상황속에서도 꿈을 가진 많은 청소년들에게 말씀해주신 "포기하지 않으면 모든 것은 가능해진다" 라는 문장을 푸른누리 여러분에게도 알려드리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