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소개

최리아서울길음초등학교

기자소개

부모님의 영향으로 어릴때부터 사진촬영, 글쓰기, 만화, UCC제작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노력했고,또한 즐겼습니다. 그로 인해 수상경력도 많습니다. 발명과 탐구를 좋아해 교육청에서 운영하는 <발명교실> 과정을 심화반까지 수료했고, 올해에는 <성북교육청 영재교육원> 을 다니게 되었습니다. 또한 운동과 음악에도 관심이 많아 현재 피아노와 태권도 등을 통해 몸과 마음을 함께 수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런 겉모습보다는 아직 어리지만 대한민국의 오늘을 살펴 좋은 미래를 만들고 싶어하는 멋진 초등학생이라는 사실을 더 강조하고 싶습니다.

사실 저의 꿈은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대통령이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곧바로 정치인이 될 생각은 없습니다. 일단은 언론관련학과에 진학한 후 사회에 나와 기자 등 언론쪽 일을 하면서 다양한 경험과 가치를 충분히 익히고 싶습니다. 그이후 그 경험을 바탕으로 정치활동을 해보고 싶습니다.

그래서 그동안 푸른누리 기자단활동은 물론 <국토해양부 어린이 기자단>, <소년조선일보 명예기자>,<어린이박물관 기자단> 등 다양한 기자단 활동을 펼쳐왔습니다.

열심히 노력하며 꿈을 꾸는 사람은 반드시 꿈을 이룰 수 있다고 믿고 있기에, 저는 매일 노력하고 매일 꿈꾸고 있습니다. 언젠가는 저의 꿈이 대한민국을 반짝반짝 빛내는 힘이 될 거라고 저는 믿고 있습니다.

신문소개

‘우리들의 대한민국’ 이라는 제목 그대로 우리 대한민국의 자랑스러움과 당당함, 그리고 소중한 우리의 문화를 알릴 수 있는 신문을 만들려고 하였습니다. 대한민국은 다양한 문화와 축제, 그리고 즐거운 일이 넘치는 나라라는 것 또한 제가 만드는 신문을 통해 알리고자 했습니다. 무엇보다 이 신문을 통해 우리가 살고 있는 대한민국이 얼마나 행복하고 멋진 나라인지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하려고 했습니다.

전체기사 보기


리스트

최리아 기자 (서울길음초등학교 / 4학년)

추천 : 2 / 조회수 : 105
서울밤을 밝힌 연등들과의 특별한 인터뷰, 나는 연등이다.

부처님 오신 날(10일)을 앞두고 지난 7일 오후 서울 종각사거리 일대에서는 연등행렬이 이어졌다. 불교 5개 종단에서 무려 10만여 명의 신도가 참가했던 행사였던 만큼 수많은 연등들이 등장했다. 그중 시민들의 눈길을 끈 몇몇 인기 연등들과 직접 인터뷰를 시도했다. 그중 제일 먼저 기자와 만난 것은 바로 ‘흰 코끼리’ 연등이었다.


지혜를 상징하는 ‘흰 코끼리’ 연등과 만나다

Q. 해마다 연등행렬을 지켜보고 있는데요. 그때마다 ‘흰 코끼리’ 연등은 빠지지 않고 등장하더라고요. 불교와 코끼리가 무슨 관련이 있나요?
A. 예로부터 코끼리는 불교에서 지혜를 상징하지요. 또한 석가모니의 어머니인 마야부인이 태몽으로 6개의 상아가 달린 흰 코끼리가 옆구리로 들어오는 꿈을 꿨다 하여 불교에서는 특히 흰 코끼리를 더없이 귀중한 존재로 여기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불교행사에 우리 흰 코끼리는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것이겠지요.


Q. 아, 그렇군요. 그런데 우리나라 말고 외국에서도 흰 코끼리를 그렇게 귀하게 대접하나요?
A. 당연하지요. 불교국가인 태국에서는 흰 코끼리가 국가의 수호신으로까지 대접받고 있고요. 때문에 흰 코끼리는 어떠한 일도 시키지 않을 만큼 신성하게 여겨지고 있습니다.


‘흰 코끼리’ 연등과의 인터뷰를 마친 후 기자가 만난 것은 바로 위엄이 넘치는 ‘사자’ 연등, 수많은 시민들의 박수를 받으며 앞으로 나가던 사자등 역시 인터뷰에 기쁘게 응해주었다.


용맹을 상징하는 ‘사자’ 연등과 만나다

Q. 연등행렬에서 ‘사자’ 연등을 만나니 기분이 새로운데요. 불교와 사자도 무슨 관련이 있나요?
A. 그럼요. 아주 관련이 많습니다. 불교에서 우리 사자는 용맹과 지혜, 그리고 수행정신을 나타내지요. 조금 쉽게 풀어보면 용맹한 마음과 지혜로운 마음을 가지고 열심히 수행해서 깨달음을 얻자는 그런 크고도 단단한 마음을 상징한다고 보면 됩니다.

Q. 아, 그렇게 깊은 뜻이 있었군요. 그런데 절에 가보면 사자석등이 있는 곳이 의외로 많던데요. 거기에도 무슨 이유가 있나요?
A. 사자는 예로부터 용맹함이 알려져 있지요. 그런 만큼 사자는 불교에서 상징적인 수호신의 역할도 맡고 있습니다. 그래서 예로부터 큰절에는 사자석 등을 많이 세우고 있습니다.


‘사자’ 연등과의 인터뷰를 마치고 마지막으로 만난 것은 바로 불을 뿜어대는 ‘용’ 연등이었다.


관음보살을 지키는 호법신 ‘용’ 연등과 만나다

Q. 불을 뿜어대시는 모습이 정말 멋지신데요. 용은 상상의 동물이라고 하잖아요. 그런데 연등행렬에 등장하는 이유가 있나요?
A. 원래 우리 용은 옛사람들이 섬기던 신령과 같았는데요. 우리나라에 불교가 들어오면서 관음보살을 지키는 호법신으로 올라서게 되었습니다. 그 후부터 우리 용들은 불교와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된 거지요.


Q. 그렇군요. 그렇다면 ‘용’ 연등도 오래전부터 연등행렬에 참여했을 것 같은데요. 대체 연등행사는 얼마나 오래된 행사인가요?
A. 옛 신라시대때부터 이어져 온 것이니 천년도 훨씬 넘었다고 봐야지요. 우리 민족의 역사와 함께 해왔다고 보면 될 거예요.


연등들과의 인터뷰를 마치고 돌아서는데 여전히 종로거리에는 사람들의 박수와 휘황찬란한 불빛의 행렬이 끝없이 이어지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