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지구지초등학교
안녕하세요, 구지초등학교 4학년 김윤지입니다.
제 취미는 독서입니다.
어렸을 때부터 도서관에 자주 다녀 책에 대한 관심이 많고 글을 써내려 가는 것을 좋아합니다.
누군가가 저의 글을 읽는 것이 기쁘고 저 또한 책을 읽고 많은 지식들을 얻고 가는 것이 기쁩니다.
그 중에서 꿈에 대한 책을 읽는 것을 가장 좋아합니다. 저는 꿈에 대한 저만의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심리학자가 되고 싶습니다. 제 꿈은 예전부터 자주 바뀌어오고 있었습니다. 어느 때는 작가, 요리사 등 제가 원하는 직업은 다양했습니다.
하지만 우연히 도서관에서 접한 책 덕분에 저는 심리학자라는 꿈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심리학자는 사람들의 심리를 탐구하는 일입니다. 제가 보기에도 사람들의 심리는 흥미롭습니다. 그 중 사람마다 같은 심리 특징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사람은 얼굴도 다르고 성격도 다른데 어떻게 심리가 같을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가지고 저는 심리학에 대한 다른 책과 정보를 찾아보곤 합니다.
그래서 저는 제 꿈에 대해 한 발짝 더 나아가는 느낌이 듭니다. 저 또한 성숙해지는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저는 제 꿈에 대한 새로운 생각을 준 책에게 고마워합니다. 책은 영원한 제 친구가 되어줄 것입니다.
그리고 저는 또다른 친구를 사귀고 싶습니다.
바로 푸른누리와 친구가 되고 싶습니다. 푸른누리와 친해져 기사도 쓰고 푸른누리 기자들과 함께 정보를 공유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기자가 된다면 으뜸기자를 노려보고 기사도 열심히 잘 쓰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평소 푸른누리 활동을 적극적으로 하는 기자라면 많이 들어본 낯 익은 이름이 있을 것이다.
바로 심유민 기자(서울 선사초 5학년)다. 심유민 기자는 서울 선사초 5학년에 재학 중이다. 푸른누리 활동, 특히 편집회의실 활동을 적극적으로 하는 기자이다. 편집회의실에서 심유민 기자의 글을 살펴보면 솔직하고 담백한 내용의 글이 담겨있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의 글에 기분 좋은 댓글, 즉 선플을 달아주는 마음 좋은 기자이다.
기자는 평소 심유민 기자의 기사 중 동화를 즐겨보고 있다. 심유민 기자의 동화는 정말 흥미롭다. 매호 다른 주제의 동화를 작성해 주고 있다. 일상생활을 다룬 동화, 판타지 동화 등 정말 다양한 주제의 동화로 독자들의 눈길을 끈다.
또한 기사도 빼놓을 수 없다. 심유민 기자는 일반 기사에서도 활약하고 있다. 독자들이 잘 이해하도록 꼼꼼한 설명은 물론이고 개성이 있는 글 솜씨를 뽐낸다. 사진 편집도 잘해 심유민 기자의 기사를 보면 정말 꼼꼼하고 깔끔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심유민 기자의 가장 큰 무대는 편집회의실이다. 솔직하게 고민을 털어놓기도 하고 기분좋은 일은 함께 나눌 수 있도록 글을 올린다. 다른 사람들의 글에 댓글 올리는 것도 빼먹지 않는다. 자신이 열심히 공들여 쓴 글에 댓글이 달리는 것이 얼마나 보람찬 일인지 알기에, 심유민 기자는 모든 기자들과 독자들에게 댓글을 달려고 노력한다. 댓글도 항상 밝고 자세하게 올려주어 심유민 기자의 댓글을 보면 저절로 미소짓게 된다.
다음은 심유민 기자와의 인터뷰다.
Q1. 푸른누리에 쓴 기사 중 가장 열심히 쓴 기사는 무엇인가요?
A. 동행취재를 다녀온 것 중 ‘나의 미래를 향해~’와 ‘환경 보호를 위한 빌리와 용감한 녀석들’ 입니다. 또 푸친소 기사 입니다. 푸른누리 기자들의 내용을 담은 기사라서 더 신중해야 했습니다.
Q2. 푸른누리 활동을 하면서 깨달은 것, 또는 반성하게 된 점은 무엇인가요?
A.
푸른누리 활동을 하면서 제가 평소에 ‘ㅎㅎ’나 ‘ㅋㅋ’등 줄임말을 썼는데 그러면 안되겠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그리고 제가 푸른누리 활동을 하기 전 다른 사이트를 이용했었는데, 그 사이트에서 ‘악플’에 시달려서 저도 모르게 전염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푸른누리 활동을 하면서 또 ‘악플’을 쓸 뻔 했는데, 모두가 ‘선플’을 실천하셔서 저도 ‘선플’을 실천하게 되었습니다.
심유민 기자는 푸른누리를 통해 많은 것을 얻고 또 많은 것을 베푼 기자라는 생각이 들었다. 편집회의실에 항상 솔직담백한 이야기를 풀어놓으시는 심유민 기자가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심유민 기자가 푸른누리 어디에서나 활약해주었으면 좋겠다. 심유민 기자, 힘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