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48호 12월 2일

문화속으로 추천 리스트 프린트

김유정 독자 (안성서삼초등학교 / 5학년)

추천 : 3 / 조회수 : 205

뉴스 공유하기 C
					로그 미투데이 트위터 Facebook

옹기의 중요성을 알게된 체험

삼국시대부터 만든 옹기는 세계에서 한민족만이 가지는 독특한 음식 저장 용기입니다. 이 곳 두리마을 옹기체험장은 120년 전통의 옹기 체험 마을 이라고 합니다. 또한, 여기에는 옹기로 만든 여러가지 물건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모형은 옹기의 원료를 집형태로 만들어 놓았습니다.
저는 2010년 11월 24일. 저의 학교에서 진행된 경기도 안성시 두리마을 옹길체험장으로 옹기를 직접 만드는 체험을 하였습니다.
저는 청와대 어린이 푸른누리 기자인것을 밝이고 이 곳 관장님이신 항영균 관장님과 인터뷰를 해보았습니다.

<인터뷰 내용>
김유정 기자 : 안녕하세요. 저는 청와대 어린이 푸른누리 기자단의 김유정 기자입니다. 오늘 옹기 체험을 왔는데 옹기의 좋은 점은 무엇인가요?
황영균 관장 : 만나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옹기의 좋은 점은 전통 방식으로 제작된 옹이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황토와 잿물의 제독작용으로 변질과 변색을 방지하여 살균작용, 기공으로 신선한 공기가 통하여 최고의 음식 맛을 자랑합니다. 또한 숨구멍이 있어, 발효가 잘 된답니다.
김유정 기자 : 질문에 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푸른누리 기자분들께 알려드리고 싶을 것이 있습니다. 바로 옹기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옹기를 만드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옹기만드는 방법>
1. 흙 반죽하기.
2. 모양 만들기.
3. 옹기 말리기.
4. 유약 바르기.
5. 문양 그리기.
6. 옹기 굽기.

옹기는 우리 일상생활에서도 많이 쓴 다고 합니다. 주로 김치와 된장, 고추장과 같은 장류, 그리고 젓갈을 담그지요.
푸른누리 기자분들께서도 옹기를 직접 만들어 보시고, 체험해 보세요.

김유정 독자 (안성서삼초등학교 / 5학년)

추천 리스트 프린트

 
정고은
용수중학교 / 1학년
2010-12-13 18:23:39
| 우리가족은 영암에 있는 옹기박물관에서 옹기체험을 한 적이 있습니다. 옹기는 수수한 한국의 미가 느끼진다고 생각됩니다.
송아영
성당중학교 / 1학년
2010-12-15 18:16:30
| 저도 옹기 만들어보고 싶네요 기사 잘 보았습니다
최희
청심국제중학교 / 1학년
2010-12-15 21:49:44
| 옹기가 과학적이고 유용한 우리나라의 전통 그릇 인데 직접 만들어 볼 수 있다니 꼭 가보고 싶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렌즈속세상

놀이터

[책 읽는 세상]12월 1주 교보추천도서


Template_ Compiler Error #10: cannot write compiled file "/web/webapp/data/ipress/iprdata7/e3/school.president.go.kr_paper/template/kr/_compile/group/61/1/bottom.htm.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