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소개

박요한서울은로초등학교

기자소개

저는 서울 은로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중인 박요한입니다. 저는 법조인이나 과학자가 되려고 합니다. 현재 가장 하고 싶은 것은 장애우들을 돕는 로봇을 만드는 로봇공학자입니다. 버지니아 공대에서 "홍원서" 교수님은 한국인 최초로 로봇공학을 가르치십니다. 그 분은 제 Role model이십니다. 과학을 좋아해서 현재 ‘서울교대과학영재원’에 재학중입니다. 수학과목을 제일 좋아하지만 어학분야도 좋아해서 영어와 중국어로 된 책을 꾸준히 읽고 있습니다. 중학교 올라가면 다른 언어도 배우고 싶습니다. 과학에 관심이 많아 "nature" 과학저널을 꾸준히 탐독하고 있으며, 최근에 감동받은 책은 ‘The innovation secrets of STEVE JOBS’ 입니다. 이 책은 기존의 고정관념을 깨고, 새롭게 생각하라는 메시지를 줍니다. 또한 공자의 "논어"도 읽고 있습니다. 이 책은 저에게 나라, 부모, 친구 등 모든 관계에서 바른 생각과 바른 자세를 알려 주어서 늘 외우고 싶은 책입니다. 기자활동으로는 저학때년 ‘동아일보어린이기자’를 했으나 활동을 제대로 하지 못했습니다. 2011년에는 "국토해양부 어린이 기자"로 열심히 활동했으며 올해는 ‘푸른누리기자’와 함께 ‘법무부정책블로그기자’ , ‘국토해양부어린이기자’로 함께 활동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중학교에 입학 때문에 바쁘지만 그래도 열심히 기사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대한민국과 세계를 이끌어가는 우리가 되길 기대해 봅니다.

신문소개

이타적 정신을 가진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고 싶어요. 훈훈한 세상을 알리고 싶어요. 다함께 행복한 세상은 더불어 사는 삶을 꿈꾸는 소중한 공간입니다.

리스트

박요한 기자 (서울은로초등학교 / 6학년)

추천 : 34 / 조회수 : 1016
드림 박요한, 나의 호(號) 이야기

부모님이 기자가 태어나기도 전에 부르는 이름이 있었다고 한다. 흔히들 ‘태명’이라고 한다. 부모님은 한글과 영어로 부르기 쉽고, 기억하기 쉬운 이름을 고민한 결과, ‘드림’이라는 태명을 만들어냈다고 한다. ‘Dream‘, ’드림’. 영어로 ‘Dream‘은 ‘꿈’이다. 내 성과 함께 부르면 ‘박+Dream’이고, 또는 ‘Dream Park‘이다. 즉, ‘꿈동산’이다. 국어로 ‘드림’은 많은 뜻이 있다. ‘주다, 나누다’라는 뜻과, 편지 끝인사에 이름과 함께 쓰이는 ‘드림, 올림’의 뜻이다. 즉, ‘다른 사람을 섬기고, 다른 사람과 나누다’라는 뜻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자를 고집하는 할아버지 덕분에 기자는 정식 이름을 갖게 되었다. ‘박요한’이다. 즉, ‘중국을 비추다’라는 뜻이다. ‘드림’은 어렸을 때는 괜찮지만, 나이가 들어서는 조금 어울리지 않다는 것이 할아버지의 생각이다. 그래서 지금은 ‘요한’이라는 이름으로 살고 있지만, 나에게도 ‘요한’이라는 이름 말고, 위인들 이름에 붙는 ‘호(號)’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조선시대의 학자 이이의 호는 율곡(栗谷)이다. 이이가 살던 마을 이름으로 ‘밤나무 골’ 이라는 뜻이다. 조선시대의 학자 이황의 호는 퇴계(退溪)로 ‘이황이 살던 곳을 흐르던 개울 이름’이다. 정몽주의 호는 ‘포은(圃隱)’으로 ‘채마밭에 숨어 농사나 짓겠다’ 는 뜻이라고 한다. 즉, 조선의 벼슬을 하지 않겠다는 자신의 의지를 ‘호’에 잘 나타낸 것이다.

위에서 보았듯이 위인들의 ‘호’는 대부분이 거처하는 곳이나 자신이 지향하는 뜻, 좋아하는 물건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거처하는 곳이 바뀜에 따라 호가 달리 사용되기도 했으며, 좋아하는 물건이 여럿인 경우 호도 많아졌다고 한다.

기자의 호는 ‘드림’이다. 어릴 적 ‘태명’이지만 기자가 앞으로 되고 싶은 꿈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지구촌 곳곳에 너의 손길이 필요해(2012)’라는 책에는 우리가 사는 지구촌 곳곳에는 많은 어린이들이 전염병으로 죽어가고, 전쟁으로 총칼을 들고 싸우고, 가난 때문에 팔려 온 슬픈 이야기가 들어 있다. 이들에게 학교를 지어서 돈이 없어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싶다. 병원을 지어서 전염병으로 죽어가는 어린이들을 살리고 싶다. 인종은 다르지만 마치 한 가족의 일처럼 어려움에 처한 사람들을 찾아가 함께 고통을 나누고 정성 어린 손길로 그들을 도와주고 싶다. 머나먼 나라의 고통 받는 이들이 나와는 상관없는 사람이 아니라 서로 관심을 가져주고 사랑을 베풀어야 할 지구라는 큰 집 속에 사는 가족이기 때문이다.

나보다 어려운 사람들을 섬기고, 그들과 나누는 삶을 살기 위하여 기자는 오늘도 열심히 공부한다. 그래서 기자의 ‘호’ 는 ‘드림’이다. ‘드림 박요한’. 한자가 아닌 한글로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고, 쉽게 기억할 수 있기 때문에 기자의 ‘호’로 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