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88호 8월 2일

출동1-에너지 기관 추천 리스트 프린트

문도선 기자 (노형초등학교 / 5학년)

추천 : 3 / 조회수 : 102

뉴스 공유하기 C
					로그 미투데이 트위터 Facebook

미래의 기대치! 제주 글로벌신 재생에너지 연구센터에 다녀오다

우리 생활에서 가깝지만 멀게만 느껴지는 신재생에너지! 신재생에너지는 자원부족국가인 대한민국에 꼭 필요한 존재라는 것, 알고 있나요? 푸른누리 기자단이 그런 신재생에너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나섰습니다.

기자단이 찾아간 곳은 제주시 김녕리 구좌읍 9-2변지에 위치해 있는 제주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연구센터입니다. 들어가자마자 보이는 것은 연구동 벽면에 깔려있는 태양열 집열기였습니다. 한 쪽 벽은 일반 시멘트벽이고, 다른 쪽 벽은 태양열판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풍경은 저에게 아주 강한 인상을 심어 주었습니다. 아래에 있는 그림은 연구동 벽면입니다.

저희 푸른누리 기자단은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기초 교육을 받았습니다. 한국에서는 재생에너지 8개 분야(태양열, 태양광발전, 바이오매스, 풍력, 소수력, 지열, 해양에너지, 폐기물에너지)와 3개 분야의 신에너지(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화, 수소에너지) 총 11개의 에너지 분야를 신재생에너지로 지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제주도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전기를 생산하는 비율은 엄청납니다. 제주도에서 사용하는 전체 전기의 5%가 신재생에너지로 인해 생산된 전기이며, 그중 96%가 풍력발전으로 인해 생산된 전기라고 합니다. 역시 바람이 많은 제주도 같습니다.

혹시 ‘제로에너지 솔라하우스’라고 들어보았나요? ‘제로에너지 솔라하우스는 전기를 자급자족 할 수 있는 집입니다. 지붕에는 태양열판이 달려있어 전기를 스스로 생산해 낼 수 있다고 합니다. 풍력발전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일반적인 풍력발전과 해상풍력발전입니다. 일반 풍력발전기는 차로 운반하여 옮기면 되는데, 해상풍력발전기는 바다에 설치하고 띄워야 하기 때문에 80억 정도 든다고 합니다. 50억이란 엄청난 금액의 차이가 납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에는 해상풍력발전이 더 많은 이익을 볼 수 있을 테지요?

비록 제주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연구센터 단지가 신축한지 얼마되지 않아서 더 많은 것을 둘로 볼 수 없어 아쉬웠지만 신재생에너지에 대해 푸른누리 기자단이 직접 보고, 듣고, 느낄 수 있는 알찬 90분이었습니다.

문도선 기자 (노형초등학교 / 5학년)

추천 리스트 프린트

 
 

 

렌즈속세상

놀이터


Template_ Compiler Error #10: cannot write compiled file "/web/webapp/data/ipress/iprdata7/e3/school.president.go.kr_paper/template/kr/_compile/group/101/1/bottom.htm.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