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40호 08월05일

문화 속으로 추천 리스트 프린트

김유빈 독자 (서울신우초등학교 / 4학년)

추천 : 19 / 조회수 : 551

뉴스 공유하기 C
					로그 미투데이 트위터 Facebook

독도는 우리땅!

8월 2일 관악구에서 자가용을 타고 1시간정도 달려서 광화문 경복궁역 메트로 미술관에 도착하였다. 갔을때는 벌써 푸른누리 기자분들께서 와 있었다. 기자들이 열심히 취재하는 모습을 보고 더욱 기뻐졌다. 독도레이서는 2009년 8월 14일부터 활동을 시작하셨다. 하지만 김도건 대원이 교통사고로 사망하여서 더더욱 그 활동을 포기 할뻔 하셨다. 무거운짐, 부족한 예산, 대원 사망등으로 갖은 고생을 하시던 대원분들이였다. 각 국을 다니시며 태권도, 풍물놀이, 사물놀이등을 하셨다.


독도는 단순한 섬이 아니다. 배타적 경제수역과 관련을 가져서 엄청난 해양자원과 군사적으로도 가치가 높아서 일본이 탐을 내고 있다. 1787년 프랑스의 탐험대가 독도를 발견하고 ‘디젤레’라는 이름으로 명명하였으며,1849년 프랑스 함대가 독도에 ‘리앙투르’라 명명했고, 같은 해 영국의 상선은 독도를 ‘호넷’이라는 이름으로 명명했다. 1895년 울릉도에 도장을 파견하였고, 1898년엔 도감을 파견하였으며 1900년 대한제국 칙령 제41조 제 2호에서 울릉도를 울릉군으로 승격시켜 울릉도를 비롯한 독도에 대한 지배권을 강화시켰습니다.

1905년 2월 조선내 군사요충지 선점에 대한 일본의 특권을 인정한 ‘한일의정서’의 내용을 빌미로, 일본의 시마네현이 현령고시 40조에 독도를 ‘무인도’라 주장하며 독도를 일본영토에 편입시키려 하였는데, 이 ‘무인도’의 주장은 독도가 역사적으로 자신들의 땅이라는 일본의 주장을 오히려 반증하는 내용이다. 이에 대한 한국학자들의 주장에 일본학자들은 시마네현쪽이 ‘실수’였다는 어이없는 주장을 내어놓고 있다.

일본은 이 사실을 1906년 2월 대한제국 정부에 통보하였으나, 대한제국 정부는 1906년 5월 지령 3호를 통해 독도영유권을 확인하였으며, 이 사실에 대해 일본정부의 확인을 받았다. 해방후인 1946년 연합국 최고 사령부 지령에 ‘ 독도를 일본영토에서 제외한다’라는 규정이 포함되었고, 1948년 UN의 승인을 얻었습니다.


1952년 인접해양 주권에 대한 대통령선언에서 독도의 한국영토임을 다시 확인하였으며, 1954년8월 독도에 등대를 설치하였고, 1961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강원도 울진소속에서 현재와 같은 경상북도 울릉군으로 개편되었다. 독도가 우리땅이라는 증거를 확인할 수 있다.

1. 19세기 이전의 일본 지도에는 독도가 한국땅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2.일본 정부에서 독도가 한국땅인지 증명했지만 결과는 한국땅이 맞는 것으로 드러났음.

3.독도에 대한 한국 국민들의 사랑과 애정

그리고 무엇보다도 동도에는 한국 경찰들이, 서도에는 한 한국인 할아버지, 할머니가 계신다는 점이다.

일본 국민들은 독도에 대하여 무관심하다. 일본은 독도, 즉 다케시마의 날을 정하여 행사를 하고 있지만, 정작 그것을 즐기는 국민들은 무관심하다. 하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독도에 대한 노래와 국민 하나하나의 사랑과 애정이 있다.

독도레이서 대원들은 8월 15일 광복절, 우리나라가 일본에게 해방된 날, 독도레이스가 모은 3001명의 발도장들을 직접 독도에 전한다고 한다. 그것은 즉, 3001명이 동시에 독도를 밟는 것과 같다고 한다.

김유빈 독자 (서울신우초등학교 / 4학년)

추천 리스트 프린트

 
김민지
서울잠신초등학교 / 4학년
2010-08-05 21:33:53
| 독도는우리땅인게확실하네요^^ 좋은기사를통해많은지식을알아가네요~
감사합니다!
박채린
까치울중학교 / 1학년
2010-08-16 10:33:24
| 정말 맞아요.우리땅입니다. 잘읽었어요
정고은
용수중학교 / 1학년
2010-08-17 18:38:43
| 정성가득한 기사 잘 읽고 갑니다.
김세경
서울백석중학교 / 1학년
2010-08-19 01:06:05
| 김유빈기자님 멋진 독도 기사 잘 읽었습니다.감사합니다.
 

 

렌즈속세상

놀이터

[책 읽는 세상]8월 1주 교보추천도서


Template_ Compiler Error #10: cannot write compiled file "/web/webapp/data/ipress/iprdata7/e3/school.president.go.kr_paper/template/kr/_compile/group/53/1/bottom.htm.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