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9호 2월18일

문화속으로 추천 리스트 프린트

최준석 독자 (광남초등학교 / 6학년)

추천 : 19 / 조회수 : 976

뉴스 공유하기 C
					로그 미투데이 트위터 Facebook

농경사회의 큰 명절, 정월 대보름

정월(正月) 대보름은 음력 1월 15일을 말한다. 매월 한번 씩 보름이 있기 때문에 일년 열두달중 보름은 12번있지만, 정월 대보름은 일년의 가장 처음 맞이하는 보름이라 대보름이다. 농경사회였던 우리나라는 달의 움직임을 중요하게 생각했기 때문에, 가장 큰 달이 뜨는 대보름날을 맞아 겨울의 묵은 기운을 털어내고 농사 지을 준비를 시작했다.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는 오곡밥과 여러 가지 묵은 나물(도라지, 취나물, 말린 가지, 버섯, 고사리, 호박고지, 박고지, 시래기 등)을 먹었는데, 이것은 겨우내 부족해진 비타민과 무기질 등 각종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여 여름을 잘 견딜수 있도록 해주는 의미가 있다고 한다.


또, 대보름날 아침에는 귀밝이술(청주), 약밥, 부럼(호두, 잣, 땅콩) 등도 먹는다. 부럼이란 단단한 과실을 깨물어서 마당에 버리는 풍습으로, 대보름날 부럼을 깨물면 한 해동안 부스럼을 앓지 않는다고 한다. 귀밝이 술을 마시면 한 해 동안 귀가 밝아지고 좋은 이야기만 듣게 된다고 한다. 그리고 대보름날 밤에는 한해의 첫 보름달을 맞는 달맞이를 하며 소원성취를 빌었다.


정월 대보름날에는 다양한 민속놀이가 있다. 풍년을 기원하는 행사로 볏가릿대 세우기, 복토 훔치기, 용알뜨기, 다리 밟기, 나무시집보내기 등의 놀이를 했으며, 제의와 놀이로는지신밟기, 별신굿, 안택고사, 용궁맞이, 쥐불놀이,사자놀이, 오광대탈놀음을 하였다.

그리고 농점(農占)으로는 달집태우기, 소밥주기, 닭울음점, 그림자점, 달불이, 집불이 등으로 한해의 농사가 풍년이 될 것인지를 점쳤다고 한다. 달집태우기는 넓은 마당에 나무를 쌓아 달집을 만든 다음, 동산에 달이 솟아 오르는 순간 불을 붙여 태운다. 달집의 불이 활활 잘 타고 연기가 많이 나면 마을이 태평하고 풍년이 든다고 믿었다. 그리고 달집위에 주소와 이름을 쓴 연을 함께 태워서 액막이(한해의 나쁜 일들을 막아줌)를 하였다. 또 줄다리기, 차전놀이 등의 편싸움과 제웅치기, 모깃불놓기, 방실놀이, 뱀치기, 더위팔기 등 다양한 놀이들도 대보름날 행해졌다.

오늘날은 농경사회도 아니고, 또 많은 사람들이 도시에 살다 보니 옛날 처럼 대보름이 중요하게 여겨지지는 않지만, 여전히 오곡밥, 나물, 부럼 깨물기, 귀밝이 술 마시기 등의 풍습은 남아있다. 그리고 대보름날 밤의 달맞이도 의미있는 풍습으로 남아있다.


그러고보면, 정월대보름은 설날만큼이나 의미있는 우리의 명절이다. 새해 아침에 늦잠 자느라 해맞이를 못한 사람은 정월 대보름 밤에 달맞이를 하여 한해 소원을 빌어보는 것도 좋겠다.

최준석 독자 (광남초등학교 / 6학년)

추천 리스트 프린트

 
김주형
2010-03-03 23:27:40
| 직접가보고싶다
 

 

렌즈속세상

놀이터


Template_ Compiler Error #10: cannot write compiled file "/web/webapp/data/ipress/iprdata7/e3/school.president.go.kr_paper/template/kr/_compile/group/42/1/bottom.htm.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