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리스트 리스트 프린트

정혜인 (서울가주초등학교 / 4학년)

뉴스 공유하기 C
					로그 미투데이 트위터 Facebook

국가기록원 나라기록관 이야기



2009년 겨울 기록문화 체험교실이 1월 12일과 13일에 나라기록관 대통령기록관에서 열렸습니다. 2기에 참여를 해서 "역사기록 보석함"을 열어 보았습니다.

연구서비스 이영복과장님께서 인사를 하시면서 자라나는 세대에게 기록의 교육장으로 활용하고 생활 속의 문화공간이 될 것이라고 말씀 하셨습니다.

기록 선진 문화로 국민과 함께 하는 대통령기록관으로 역사를 이어 갈 것 입니다.


참석한 부모님들께서는 따로 교육을 받으시고 우리 초등학생들과 중학생들은 대강당에서 영화.드라마 속의 기록이야기와 조선시대의 사고 이야기 강의를 들었습니다.
<사진: 대통령기록관바로알기 강의-강호출학예연구관님께서 (학무모님들)>

<사진 : 문서복원실의모습 (학부모님들)>

국가기록원 기록관리교육과 이영도 선생님게서 아주 재미있게 설명해 주셨습니다.

우리들이 잘 알고 있는 드라마나 영화들속에 기록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면서 기록이 중요하다는 걸 배웠습니다. 대조영, 태왕사신기,이산, 한반도등...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태왕사신기에서 담덕(배용준)이 거란족과의 회담을 나갈 때 수하의 7명을 대동하고 회담장으로 갔다.

7명 중 거물촌 제자도 한 명 끼었는데 흑개는 7명이면 한 명이라도 더 칼을 휘두르는 사람을 데려 가야한다고 이야기를 하면서 왜 글쟁이를 데리고 가냐고 이야기를 했다.

그러자 담덕은 "내가 잘못한 것이 있다면 기록을 해놓아야지 다음에 되풀이를 안 하죠. 한 번하는 것은 실수지만 두 번하는 것은 죄를 짓는 거라고...!"라고 대답한다. 비록 드라마지만 광개토대왕의 새로운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나는 드라마 볼 때 그냥 봤는데 다시 드라마를 보여주고 설명을 해 주시니 이해도 잘 되고 광개토대왕이 정말 훌륭한 분이시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산에서도 역모의 누명을 벗을 때도 조선왕조 의궤 때문에 밝혀져서 기록으로 위기를 모면 하게 되었다는 내용도 함께 보여 주셨습니다.

개인의 기록도 중요하다고 하셔서 나도 일기를 더 정성껏 적어야 겠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조선시대의 사고 이야기는 조선왕조실록은 태조부터 철종까지 25대 국왕 472년간의 역사를 연월일 순서에 따라 편년체로 기록한 조선시대 대표적인 역사책입니다. 현재 국가기록원 역사기록관에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 848책을 소장, 보존하고 있다고 합니다. 국보 151호로 지정이 되었고,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우수한 우리의 한글과 더불어 지정이 되었습니다.

조선왕조실록은 왕에 대한 이야기 만이 아니라 서민의 생활까지 담겨 있는 민족문화서이기 때문에 소중하고 그 가치는 매우 큽니다.

<사진 오른쪽: 대통령기록물 보존서고 - 보안이 아주 철저하고 아무나 들어 갈 수가 없는 중요한 곳 (학부모님들)>

기록은 후대를 위한 ‘나라기록관’으로 앞으로도 잘 보관하고 우리들도 관심을 가져야 겠습니다. 나라기록관 3D 모형으로 만들어 보면서 즐거웠습니다.



마지막으로 국가기록전시관과 대통령기록전시관에 들려 보았습니다.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의 전시는 가장 인기도 많고 청와대 집무책상 의자에 앉아 사진을 찍는 곳은 줄을 서서 찍기도 했습니다.


<사진 왼쪽 위-국가기록관 3D만들기 모습 (어린이들)/ 아래-청와대집무실 포토존 /오른쪽-대통령기록관>


<사진 왼쪽 -역대 대통령님들의 휘호들 /오른쪽-이명박대통령기록물>


초대 이승만대통령 부터 16대 노무현대통령까지 전시되어 있어 한 눈에 다 알아 볼 수 있게 전시가 잘 되어 있었습니다. 대통령의 업무에 관한 모든 기록은 국가소유로서 국가에서 의무적을 관리하도록 규정이 되어 있다는 걸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대통령기록은 설명책임성과 사회의 투명성을 높이는 아주 중요한 자료입니다.

<사진 왼쪽 -활동지와 팜플렛 기념품과 3D모형의 국가기록관 /오른쪽-기념촬영>

중요한 역사자료로 계속 국가 운영에 도움이 될 것 입니다.

17대 이명박대통령의 자료도 이 곳에 보관하게 될 때 우리 청와대어린이기자들 자료도 있게 된다면 좋겠습니다.

정혜인 기자 (서울가주초등학교 / 4학년)

리스트 프린트

세상과사람

푸른컬럼대보름 이야기

박환영 교수
(중앙대 민속학과)

화합과 조화의 시간인
정월대보름 보기

사진이야기


Template_ Compiler Error #10: cannot write compiled file "/web/webapp/data/ipress/iprdata7/e3/school.president.go.kr_paper/template/kr/_compile/group/17/1/bottom.htm.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