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리스트 리스트 프린트

장예린 (서울고명초등학교 / 4학년)

뉴스 공유하기 C
					로그 미투데이 트위터 Facebook

문화유산 이야기-황룡사지

나는 지난 1월 1일부터 3일까지 가족과 함께 경주답사를 갔다 왔다. 경주는 신라의 수도였기 때문에 오래 된 멋진 유물과 유적들을 볼 수 있는 곳이다. 그래서 이 도시 자체가 유네스코가 지정한 문화유산 가운데 하나이고, 특히 석굴암과 불국사는 별도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나는 경주에서 2박 3일 동안 수많은 문화유산을 봤다. 불국사, 석굴암과 천마총, 첨성대, 안압지 등등. 하지만 나는 경주에 가기 전부터 책을 읽으면서 알게 된 황룡사탑이 제일 궁금했고, 실제로 그 터를 본 다음에는 지금까지도 황룡사지가 가장 인상 깊이 남아 있다.

황룡사지는 신라의 멋진 절인 황룡사가 있었던 터다. 황룡사는 신라시대에 가장 큰 절이었다. 그리고 넓이만 2만 여 평이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황룡사 터는 눈금처럼 정확하게 동서남북으로 건물들이 구획되어 있었다고 한다. 원래 신라 진흥왕은 이 곳에 궁궐을 지으려고 했지만, 황룡이 나타나자 이를 신기하게 여겨 황룡사라는 절을 짓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전해 온다. 또, 황룡사에는 너무 실감나게 잘 그려서 새가 앉으려고 날아왔다 부딛혔다는 솔거의 유명한 그림, ‘노송도’도 그려져 있었다 한다. 황룡사 앞뜰에는 신라를 둘러싸고 있는 여러 나라들을 불교의 힘으로 이겨내고자 9층 목탑을 세웠다 한다. 이 탑은 높이가 80m가 넘었다고 한다. 거의 높은 아파트 한 채 만한 크기이다. 그리고 바닥 면적만 150평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 모든 것들이 안타깝게도 고려 때 몽고의 침입으로 불 타 없어지고 지금은 터만 남아 있다.



우리 가족은 제대로 된 안내소 조차 없는 황룡사지를 여렵게 찾아 도착했다. 그런데 아빠가 한 번 둘러 보더니 아무것도 없다고 가자고 하셨다. 그래서 내가 황룡사에 대해 설명을 해드리고, 더 안으로 들어가 황룡사 9층 목탑터도 찾아내자, 아빠는 그 크기에 놀라워하면서 감동을 하고 진짜 황룡사가 지금 까지 남아 있었다면, 신라 뿐만 아니라 아마 세계 최고의 훌륭한 문화유산이 되었을 거라고 하셨다. 엄마와 나는 황룡사 9층 목탑을 상상하면서 남아 있는 초석들을 밟으며 9층까지 올라가는 놀이를 했다. 마지막 가운데에 있는 심초석에 다달았을 땐 정말 내가 9층 꼭대기에서 경주 시내를 내려다 보는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국립경주박물관에 갔더니, 황룡사와 9층 목탑의 모형이 작게 만들어져 전시되어 있었다. 내가 상상했던 대로 9층 목탑은 절의 건물보다 훨씬 더 높았고, 경주의 중심이었다. 옛날에는 이 탑 안에 계단이 있어 올라가면 경주 시내의 경치를 한 눈에 다 볼 수 있었다 한다. 나는 어떻게 옛날 사람들이 이렇게 크고 웅장하고, 심지어는 계단으로 올라가서 경치를 볼 수 있게 만들었는지 궁금했다. 옛날 사람들은 정말 지혜롭다는 생각을 했다.


지금 이런 멋진 황룡사지는 논밭으로 둘러싸여 있어서 쉽게 찾을 수가 없고,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도로도 제대로 안 되어 있다. 당연히 주차장도 없다. 관리가 제대로 안되고 있다는 뜻이다. 그리고 불국사에는 추운 날씨에도 많은 관광객들이 왔지만, 이곳에는 한두 가족만 있었다. 이런 멋지고 훌륭한 문화유적지를 사람들이 안 찾아 오다니, 나는 좀 실망했다. 아마도 다른 유명한 유적처럼 눈으로 볼 수 없기 때문인 것 같다. 하지만 우리처럼 마음으로 본다면 경주의 어느 유적보다도 더 훌륭하다는 것을 느낄 것이다. 나는 더 많은 사람들이 구경하러 오게 주변 관리도 잘 하고, 홍보도 많이 하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나중에는 복원 된 모습으로 있으면 한다.


사진(위) : 기초석만 남아 있는 황룡사 9층 목탑 터

사진(아래) : 국립 경주 박물관에 있는 황룡사와 황룡사 9층 목탑 모형

장예린 기자 (서울고명초등학교 / 4학년)

리스트 프린트

세상과사람

푸른컬럼대보름 이야기

박환영 교수
(중앙대 민속학과)

화합과 조화의 시간인
정월대보름 보기

사진이야기


Template_ Compiler Error #10: cannot write compiled file "/web/webapp/data/ipress/iprdata7/e3/school.president.go.kr_paper/template/kr/_compile/group/17/1/bottom.htm.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