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리스트 리스트 프린트

송현정 (돌마초등학교 / 5학년)

뉴스 공유하기 C
					로그 미투데이 트위터 Facebook

국내 최초 현미경 박물관, 마이크로 과학박물관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는 국내 최초 현미경 박물관인 마이크로 과학박물관이 있다. 지난 2007년에 문을 열어 올해로 3년 차에 접어든 마이크로 과학박물관은 21세기 생명과학 문화재단, 한국생명과학연구소에서 운영중인 4대 과학 테마 박물관 중 하나로 철저하게 예약제, 해설제 관람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다른 박물관과 달리 많은 사람들에게 치이고 시간에 쫒겨서 관람하지 않아도 되어 좋다. 그리고 어른이 들어도 재밌는 연구원 선생님의 해설로 시간가는 줄 모른다. 약 30평 정도 되는 작은 전시실을 한바퀴 돌아보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한 시간 반 이상이다. 관람하는 아이들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체험수업 내용관 수준이 그때그때 달라지는 맞춤형 해설 덕분에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생명과학 분야를 쉽고 재밌게 접할 수 있다.



마이크로 현미경의 개념부터 역사, 구조, 종류, 200년된 실제 현미경과 현미경 표본 제작 과정, 여러 물체의 미세 구조들 까지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실에는 160여개의 다양한 현미경이 전시돼 있다. 전시실의 현미경들은 모두 직접 만지고 볼 수 있도록 구비돼 있다. 우리들의 입속 세균을 추출해서 직접 관찰하는 세균 관찰 실험은 아이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코너이다. 대형스크린을 통해 보여지는 자신의 입속 세균에 놀라면서도 즐거워한다.


마이크로 과학박물관에 상주하고 있는연구원은 총 9명이다. 모두 생명과학을 전공한 전문과학도들 이지만 전공 분야는 각가 다르다. 세포, 세포유전, 식물, 곤충 등 각기 다른 분야를 전공한 선생님들이 박물관 해설과 정규 교육프로그램을 나누어 담당하고 있다. 현재 과학관에서 운영중인 정규 교육 프로그램은 호기심교실과 탐험단이 있다.

호기심 교실은 7-8세를 대상으로 하는 기초과학반과 9-10세반인 응용탐구반으로 나뉘는데 1월부터 12월까지 매주 다른 주제를 다루고 있어서 매달 첫째주에 신청이 가능하다. 수업은 일주일에 한번씩 60분에서 70분동안 하고 수업료는 한달에 8만5000원에서 9만5000원선이다. 그리고 초등학교 4학년 이상만 참여 할 수 있는 탐험단의 경우는 일년에 단 한번 모집한다고 한다. 그 외에도 매달 둘째, 셋째주 수요일마다 무료 테마 과학교실과 전시관 오픈데이등 다야한 행사들이 열린다. 또 한생연에서는 3년짜리 전문 과학 탐구 프로그램으로 미래의 과학인재들을 관리 양성하고 있다.

지금까지 지나오면서 내가 가보았던 박물관과 견학지도 많았는데, 아직도 가보아야 할 새로운 박물관이 많이 있다는 사실에 놀랐다. 거주지 가까이에 좋은 박물관이 있어서 행복하다. 한 번으로는 아쉬움이 남았었는데 두번째 체험을 한 후 생명의 신비로움을 현미경을 통해서 실감할 수 있었다. 그리고 현미경에 대해 좀더 자세하게 알게 되었다. 관람시 친절하고 자세한 설명과 실험관찰을 담당하셨던 표재원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문의:031-711-0154 , www.biom.or.kr

송현정 기자 (돌마초등학교 / 5학년)

리스트 프린트

세상과사람

푸른컬럼대보름 이야기

박환영 교수
(중앙대 민속학과)

화합과 조화의 시간인
정월대보름 보기

사진이야기


Template_ Compiler Error #10: cannot write compiled file "/web/webapp/data/ipress/iprdata7/e3/school.president.go.kr_paper/template/kr/_compile/group/17/1/bottom.htm.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