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2-책이야기 추천 리스트 프린트

박수아 독자 (서울미래초등학교 / 5학년)

추천 : 4 / 조회수 : 234

교과서는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우리가 학교에서 매일 공부하는 교과서는 어떻게 만들어져 우리의 손에 들어오는지 알아보았어요. 교과서를 보면 글이 있고 그림도 있고 사진도 많이 있어요. 이런 것들이 그냥 대충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고 여러 사람들의 손을 거쳐 오랜 시간 연구 끝에 만들어진다고 해요.

그럼 교과서를 만들기 위한 기획회의부터 책이 다 만들어져 학교에 도착해 우리의 손에 들어오기까지를 간단히 살펴 보겠어요.


1. 교과서 기본 방향 정하기

교과서를 어떻게 만들지 기획회의를 하는 첫 단계입니다.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만든 교육과정에 맞추어 어떤 내용들을 어떻게 실을지 연구진들이 모여 회의를 하는 것입니다. 집을 짓기 전에 설계를 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어요.

2. 교과서 내용 원고 만들기
원고를 쓰는 분들은 교과서 기본 방향에 따라 원고를 씁니다.여러 참고서적과 논문 등의 자료를 참고하여 먼저 실험교과서를 만듭니다.
실제로 전체 학생들에게 나가기 전에 몇몇 학교를 선정해 공부하게될 실험교과서를 먼저 만듭니다. 이 때 원고와 사진, 그림까지 선정해 편집하는 사람에게 보냅니다.


3. 편집 교정 및 디자인 꾸미기

편집교정은 편집진이 받은 원고를 검토하고 틀린 곳이나 맞춤법, 띄어쓰기 등을 점검합니다. 그림과 사진의 배치도 이 때 합니다. 학생들이 쉽게 공부할 수 있도록 내용을 수정도 하고 디자인도 예쁘게 꾸민답니다.


4. 필름만들기

컴퓨터로 편집한 원고를 종이에 인쇄하기 전에 필름으로 만드는 과정입니다. 사진을 찍고 현상하는 것처럼 이 필름을 이용해 인쇄를 하게 됩니다. 필름에서도 또 틀린 것이 있나없나 교정도 본답니다. 그런데 요즘은 필름 과정 없이 화면에 보이는 그대로 인쇄하는 PDf라는 것을 이용해 바로 인쇄도 한답니다.


5. 인쇄하기

필름으로 인쇄판을 만들어 인쇄기에 돌리면 인쇄판에 담긴 내용이 종이에 찍힙니다. 이 때 디자인은 잘 나왔는지, 글자나 사진, 그림 등의 색이 흐리거나 진하지 않은지 점검을 한답니다.


6. 책으로 묶기
인쇄된 것은 한장한장으로 되어 있어서 표지와 본문 내용들을 묶어 책의 형태로 만듭니다. 책장이 떨어지지 않도록 단단히 묶습니다. 그런 후 책의 크기에 알맞게 예쁘게 자릅니다.


7. 책 실어나르기

완성된 교과서는 박스에 담아 트럭 등의 차량으로 전국의 공급소로 보내진답니다. 이곳에서는 또 각 학교로 실어나릅니다. 이 떄에도 책이 파손되지 않도록 포장을 하고 신경을 많이 쓴답니다. 학교에서는 선생님들꼐서 학생수에 맞게 왔는지 확인을 하겠지요.


8. 교과서가 우리 손으로

이런 여러 과정을 거친 최종 교과서가 우리에게 전해집니다. 정말 많은 과정을 거치지요. 교과서 한권을 만들기 위해 여러 사람이 참여하고 또 여러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데 책을 함부로 대해서는 안되겠습니다. 또 만든 분들의 수고에 보답하기 위해서도 열심히 공부해야 되겠습니다.

박수아 독자 (서울미래초등학교 / 5학년)

추천 리스트 프린트

사진이야기

놀이터

[동화 이야기]
쌍둥이 형제
기탄교육
[만화 확대경]
성이의 별별이야기 10 황중환


Template_ Compiler Error #10: cannot write compiled file "/web/webapp/data/ipress/iprdata7/e3/school.president.go.kr_paper/template/kr/_compile/group/22/1/bottom.htm.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