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길라잡이 추천 리스트 프린트

정혜인 독자 (서울가주초등학교 / 4학년)

추천 : 4 / 조회수 : 498

뉴스 공유하기 C
					로그 미투데이 트위터 Facebook

대기오염 실험에 푸름이가 떴다!

6월 27일 푸름이가 떴다의 4차 모임 수업이 (사)한국환경교육협회 2층에서 있었습니다.


활동주제는 : in Traffic(트래픽) 활동으로 도로이동 오염원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했습니다.
대기오염의 실험으로 도로의 이산화질소 농도, 경유차 미세먼지 조사를 하게 됩니다.


오후 2시30분까지 강의실에 모여 먼저 <북극의 눈물>을 시청했습니다. 힘들게 살아가는 북극곰이 너무 불쌍하고, 사람만이 아니라 동물들도 환경오염 때문에 힘들어 했습니다.


우리들은 선생님을 따라 열 한개의 탄소발자국 지우개조, 파란 별조, 탄소제로(ZERO)조 등 3조가 강의실 밖으로 나가서 측정지점에 캡슐을 설치 했습니다. 조별로 우리들은 대기속의 이산화질소를 측정할 수 있는 캡슐을 도로변, 주택가, 공원 등 3곳에 설치를 직접하는 수업을 했습니다.


도로변은 4차선 이상의 차량과 사람들이 다니는 곳에 설치를 하고 다음은 일반 주택가의 기둥에 설치를 했습니다.


다음은 공원으로 가서 공원녹지에 있는 놀이터에 조별로 다른 위치에 설치를 했습니다. 어떤 결과가 나올지 어떤 곳이 가장 이산회질소가 많이 나오는지 정말 궁금했습니다. 하루 정도 두고 다시 떼어서 1일 동안 발생한 양을 측정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설치하고 돌아오면서 차량에도 실험을 했습니다.


차종류는 RV이고 측정시간은 2분, 차량 연료는 경유인 차량이었습니다. 차량의 배기구에 물티슈를 막았다가 꺼내서 보니 검게 변해있었습니다. 결과를 보고 까맣다고 이야기를 하거나 더럽다는 이야기도 하면서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매연이 얼마나 환경에 영향을 주는지 알 수 있는 실험이었습니다.


우리들이 숨쉬는 많은 공기를 위해서 할 수 있는 일을 각자 기록지에 적었습니다. 수도권 지역에서 미세먼지 중 66.3%가 도로이동 오염원에서 발행되는데 대부분이 경유 자동차에서 발생을 한다고 합니다. 휘발유 가격의 인상으로 더욱 경유 차량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 나면서 우리들이 사는 수도권의 대기오염이 더 심각하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고 합니다.

다시 강의실로 돌아와서 측정기록지를 작성하고, 다음으로 산성비(빗물)와 수돗물을 비교하는 실험을 했습니다. 작은 용기에 빗물과 수돗물을 스포이드로 옮겨 담아서 각 용기에 노란색 ph테스트지를 넣어서 색이 변하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빗물은 7정도로 중성이고, 빗물은 4정도로 역시 산성에 가까웠습니다. 산성비는 나무등 식물에 피해를 주고, 땅과 강에도 피해를 준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 사람들도 머리가 빠지고, 길거리에 있는 동상들도 색을 바래지게 하거나 동상의 모습을 변하게 할 정도로 산성비는 많은 피해를 줍니다. 또 땅에도 다양한 미생물들이 살아서 건강한 흙이 되려면 산성비를 줄여야 한다고 합니다.


산성비를 막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질문을 하셨을 때 우리들은 가까운 거리는 걸어다니고,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카풀하자, 자전거를 이용하자 등의 방법을 이야기하자, 류진수 선생님께서는 우리들이 실천을 하면 산성비를 덜 맞을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왜냐하면 자동차에서 나오는 매연이 산성비를 만들기 때문에 우리들이 자동차 이용을 줄이고 대중교통이나 자전거 이용을 하는 것이 산성비를 줄이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비가 올 때는 최대한 비를 맞지 않게 하도록 하고, 집에 와서는 깨끗히 씻습니다.


여름에는 비가 언제 올지 모르니 접는 우산을 꼭 가지고 다니거나 학교 사물함에 넣어두면 비가 와도 걱정이 없습니다. 환경에 관한 책도 읽고, 이렇게 환경교육을 받을 수 있는 곳에서 받게 된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 입니다.

정혜인 독자 (서울가주초등학교 / 4학년)

추천 리스트 프린트

사진이야기

놀이터


Template_ Compiler Error #10: cannot write compiled file "/web/webapp/data/ipress/iprdata7/e3/school.president.go.kr_paper/template/kr/_compile/group/28/1/bottom.htm.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