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추천 리스트 프린트

차아빈 (Summer Fields School / 5학년)

추천 : 58 / 조회수 : 1605

뉴스 공유하기 C
					로그 미투데이 트위터 Facebook

소중한 물, 소중한 자연을 지키자

소중한 물, 그 소중한 자연을 위하여 지구의 온난화를 방지하고, 우리의 생명줄인 물을 영원히 보호할 수 있는 특집기사를 준비하면서 미래의 우리의 지구을 위한 최우선의 것들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었습니다.

우선적으로 왜 지구에서 물이 부족해지며, 그 해결방안이 무엇인지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왼쪽 사진: 한탄강/한국관광공사>



물 부족의 근본 원인

첫째, 어른들의 마구잡이식 개발이 원인이라고 합니다.
요즘 어른들은 개발이 무조건 좋다고 삭막한 도시환경을 만들어 가는 개발을 계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여름 도시의 한복판은 아스팔트 복사열 때문에 사우나탕 같은 곳으로 변하기 일수이고, 도시에 점차 나무 숲이 사라지는 현상들을 자주 목격하게 됩니다. 결국 이런 현상은 물 부족 현상을 자초하게 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60~70년대에 급속도로 경제성장을 해오면서 무작위 개발로 도시 주변의 자연 환경을 훼손하였습니다. 그리고 환경오염을 굉장히 심하게 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둘째, 산림파괴를 하면서 개발하는 것이 원인이라고 합니다.
요즘 어른들은 주변의 자연 친화적환경을 선호하여 아파트 개발을 산이 있는 곳으로 정해 산에 숲을 자르고 없애면서 산에다 아파트를 짓고 있는데 이 또한 엄청난 자연의 재앙을 만들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도로의 편리성을 위해 자연을 훼손하면서 터널을 뚫는다고 산을 깎고 나무를 베어내는 등의 행위를 하면서 자연을 훼손한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산에 나무가 많이 있어야 물을 지킬 수 있고 그 물을 우리가 생명수로 마셔야 하는데 이런 현상을 더욱 심각하게 자행하고 있으니 우린 더더욱 물 부족 현상을 느낀다고 합니다.

지금 지구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상

현재의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의 육지는 약 1/3이 건조 또는 반건조 지역이라고 합니다. 사막화가 문제로 되고 있는 곳은 사막의 주변에 분포하는 반건조 지역인데, 여기에 나무가 아주 드물게 자라는 초원이 펼쳐져 있다고 합니다. 사막화 현상이란 이와 같은 지역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그 토지가 가지는 생물 생산 능력의 감소 또는 중지를 의미합니다. 결국 불모지인 사막과 같은 상태가 되고 만다고 합니다. 최근에 사막화되어 나가는 면적은 해마다 600만ha의 비율로 계속되는데, 이에 따른 농촌의 피해 인구는 해마다 약 천7백만 명이나 발생합니다. 세계 최대 사막화 지역은 사하라 사막 주변에서 아라비아 반도를 거쳐 중앙 아시아로 이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지금 아프리카의 많은 나라들이 가난에 허덕이고 있으며 물과 식량을 찾아 계속적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합니다. <위 사진 : 충주댐/한국관광공사 제공>

사막화는 점차적으로 사람들이 사는 주변까지 서서히 가까워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마을이나 도로를 중심으로 그 바깥쪽으로 퍼져 가는 경향이 더욱 심해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것은 과방목, 과경작, 땔감용 수목의 벌채 등 어른들의 인위적 자연 파괴가 주 원인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더욱 더 불행한 것은 일단 사막화가 시작되면 대개가 복구가 불가능할 정도로 사막화가 가속화된다는 것입니다. 일단 식생(埴生)이 상실되면 바람이나 물에 토양이 쉽게 침식당하게 되어, 영양분이나 수분을 공급할 토양이 유실되어 결국 불모지로 변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가정에서나 농촌에서 축산 오폐수 등을 처리하지 않고 버리는 폐수 등이 점차 하천이나 강, 바다로 흘러 병들게 한다고 합니다. 결국 도심의 공기는 탁해지고 호흡이 곤란해지는 현상이 가중되고 있다고 합니다.

공기가 탁해지면 대기가 오염되어 산성비가 내리게 되고, 그리고 결국은 도시의 온도가 높아져 한겨울에도 모기같은 해충이 자라게 되는 이상 현상이 생기기도 합니다. 지구의 대기 온도도 높아져 지구 온난화 현상이 발생하여 결국은 사막화 현상을 초래하는 과정을 만든다고 일어납니다.

우리의 소중한 물을 지키기 위한 시급한 대책

지금 우리는 온난화로 죽어가는 지구를 살리고 우리의 생명줄인 소중한 물을 지키기 위해서 지구의 전 토지가 식생의 회복이 가능하도록 초기에 대책을 세워 이를 방지해야 할 것 같습니다. 기상학적으로는 사막화 현상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적은 비, 또는 어른들의 인위적 식생 파괴로 일단 사막화가 시작되면 태양 에너지의 흡수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하강 기류가 우세하게 되어 비를 줄이고, 더욱 사막화가 가속화 된다고 합니다. 이것을 전문 용어로는 ‘포지티브 피드백 메커니즘(positive feedback mechanism)‘이라고 한답니다. 우리는 지금부터라도 개발을 하되, 환경 친화적인 개발을 해야 합니다. 건물을 지으면 그 주위에 나무를 많이 심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나무를 심는 행사를 많이 해야 공기도 깨끗해지게 됩니다. 자연을 훼손하여 개발하는 것은 반드시 주변 시민의 의견을 수렴하여 꼭 따라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푸른누리 친구들은 모두 각 가정에서 지나치게 물을 사용하지 말고 샴푸나 세제 등의 사용을 절제하여 하천을 오염하는 것을 막아야 할 것 같습니다. 이제 따뜻한 봄이 찾아 오면 학교나 우리가 살고 있는 공원 주변이나 인근 도로변 등에 많은 나무를 심어야 합니다. 그래서 우리의 생명줄인 소중한 물을 보호하는 데 조금이라도 힘을 보탤 수 있도록 어른들에게 말씀드려 저희 푸른 누리 친구들이 손수 나서야 할 때라 생각이 듭니다. 푸른누리 친구들과 우리 모두 소중한 물을 영원히 지구에서 지키기 위해서는 지금부터 우리의 작은 정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봄에는 푸른누리 친구들 모두 주변에 나무 한그루씩 심는 것은 어떨런지요?


차아빈 기자 (Summer Fields School / 5학년)

추천 리스트 프린트

사진이야기


Template_ Compiler Error #10: cannot write compiled file "/web/webapp/data/ipress/iprdata7/e3/school.president.go.kr_paper/template/kr/_compile/group/20/1/bottom.htm.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