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길라잡이 추천 리스트 프린트

장성주 (고양신일초등학교 / 6학년)

추천 : 11 / 조회수 : 575

뉴스 공유하기 C
					로그 미투데이 트위터 Facebook

쓰레기, 처음엔 우리의 친구였습니다

오늘 날 우리지구는 너무나도 환경이 공해 때문에 오염되고 있다. 공해를 일으키는 원인중에는 우리가 버린 쓰레기도 있는데 이런 쓰레기는 어디로 갈까? 지난 3월11일 고양시 일산서구청에서 실시한 제1회 가족환경체험 행사에 참여했다. 각종 쓰레기가 넘치는 현장이었지만 악취나 폐수를 발견할 수는 없었다. 그만큼 처리과정의 장치가 철저했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www.SLC.or.kr)

지난 2000년 7월에 설립된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서울, 인천, 경기도의 폐기물을 처리하고 매립된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가스와 침출수로 환경에너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면적은 여의도 면적의 약 7.5배로 세계최대크기라고 한다. 하루에 처리되는 쓰레기양만해도 약 460만 톤이라고 하니, 그 규모가 잘 짐작이 가지 않는다.

제1~제4매립장이 있으며 1992년부터 2000년도까지 제1매립장은 매립이 완료되었고, 현재는 제2매립장이 가동중이다. 매립장은 25개의 네모난 셀 형태를 하고 있는데 2개의 셀을 먼저 사용하면서 순서대로 이어나가고,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인 매립을 위해 매립장 바닥은 콘크리트로 솥단지 모양으로 만들고 8단의 높이로 쌓아가는데 쓰레기를 매립한 후 3시간후에 20cm 정도의 흙으로 덮는 과정을 거친다.


매립지는 말 그대로 각종 생활, 건설, 사업장 쓰레기를 땅에 파묻는 것이다. 하지만 그것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쓰레기의 에너지 전환이다. 더 나아가서 쓰레기의 환경에너지화이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서울의 하늘공원은 ‘난지도’라는 쓰레기 매립장의 대표적인 장소였다. 그러나 지금은 상암월드컵구장 옆에서 우리 시민들이 가장 놀러 가고 싶어하는 공간으로 탈바꿈 했다. 이 곳 김포수도권매립지도 혐오시설로 인식될 수 있는 매립지를 아름다운 환경테마공원 ‘드림파크’로 만들어 가고 있다. 해마다 4월의 야생화 축제와 9월의 국화축제로 시민들에게 다가가고 있으며,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에 맞춰 수영, 승마, 골프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노력중이다.

고양시 환경에너지시설 (http://www.goyang.go.kr)

고양시 생활폐기물을 위생적으로 처리하여 매립지 확보난 해소와 도시생활쓰레기의 감량화와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1995년 11월에 운영을 시작하였다. 하루에 처리하는 생활쓰레기양은 300톤가량으로 소각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하고 있다고 한다. 현재 국제환경인증 ISO14001을 획득하였으며, 시민대책위원회라는 곳에서 일반시민들이 시설 관리에 참여 중이다. 1일 반입 차량은 20~30대 정도이며, 소각시 발생되는 열은 지역난방공사에 에너지로 판매하는데 연간 20억원 정도의 수익이 발생된다. 소각장으로만 생각되던 시설에서 이젠 친환경에너지 생산 시설로 탈바꿈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김포수도권매립지는 2044년이면 매립이 완료 된다고 한다. 더 이상 쓰레기를 버릴 곳도, 묻을 곳도 없다는 것이다. 과학의 발달로 쓰레기를 100% 재활용 할 수 있으면 좋지만 분명히 한계가 있으니까 우리가 줄일 수 있다면 최대한 노력을 해야한다. 분리수거도 집에서는 잘하는데 학교에서는 소홀해지는 부분이 있는데 좀 더 신경을 써야 할 것이고 급식시간에도 먹을 만큼만 덜어서 남김없이 먹어야 한다. 지구촌에는 9억 2만여명이 기아에 허덕이고 있는데 지금보다 식량 생산량을 2배로 늘려도 부족한 실정이라고 한다. 음식물 쓰레기를 돈으로 환산하면 1인당 연간 30만원 정도라고 한다. 장난감, 책, 축구공, 과자 등 이것들은 처음엔 우리가 갖고 싶어 했고 좋아 했던 것들인데 버릴 때는 아무렇지도 않게 그냥 버리지는 않았는지 깊이 반성해야 할 것이다.

장성주 기자 (고양신일초등학교 / 6학년)

추천 리스트 프린트

사진이야기


Template_ Compiler Error #10: cannot write compiled file "/web/webapp/data/ipress/iprdata7/e3/school.president.go.kr_paper/template/kr/_compile/group/20/1/bottom.htm.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