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55호 3월 17일

테마1-날씨가이상해요 추천 리스트 프린트

박미소 독자 (해강초등학교 / 4학년)

추천 : 6 / 조회수 : 133

뉴스 공유하기 C
					로그 미투데이 트위터 Facebook

지구의 숨이 가빠져요!

사람들은 종종 ‘환경오염과 기후변화’ 를 얘기한다. 이 단어는 도대체 어떤 것일까? 사람들이 정말 자세히 알고 있는 것일까? 우리는 어떤 태도로 극복해 나가고 있는가? 이런 의문을 가지고 이 문제를 구체적으로 다뤄보고자 한다.


지구는 지금 환경오염과 온난화로 인해 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첫째.우리가 별 생각없이 좀 편하자고 사용하는 것들이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고 있다. 흘러내리는 폐수, 자동차의 매연, 일회용품 사용, 오존층을 파괴하는 냉장고나 에어컨 등에 사용되는 프레온 가스가 그 예이다. 수은 중독으로 인한 미나마타 병, 카드뮴 중독으로 인한 이따이이따이 병, 우리 인체에 유해한 다이옥신, 오존층 파괴로 인한 자외선의 노출- 피부암 등 우리가 지구에게 베푸는 그대로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며 되돌아오고 있다.


둘째.온실 효과로 인한 지구 온난화가 기후이변을 일으키고 있다. 대기에 속해 있는 이산화탄소는 태양 열을 가두고 열이 지구 밖으로 나가는 것을 막는다. 문제는 그 이산화탄소의 양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는 것. 그러므로 지구는 온실처럼 더워지면서 수온이 높아지고 남극이나 북극같은 극지의 얼음도 녹는다. 그렇게 녹은 물은 해수면을 높이며 높이가 낮은 섬들이 물에 잠긴다. 결국 지도상에서 그 섬들은 없어질 것이다. 그렇다면 그 섬에 살고 있던 사람들은 어떻게 될까? 그들도 죽거나, 이민자가 될 것이다. 또한 생태계 파괴를 일으킨다.


더 심각한 것은 세계 곳곳에 일어나고 있는 기후변화이다. 해수온도 상승으로 인한 엘리뇨 현상은 어획량 감소, 중남미 지역의 폭우나 홍수, 태평양 반대쪽인 호주 일대의 가뭄 등의 원인이 된다. 그 반대로 동태평양 적도 부근의 해수면 온도가 낮아지는 현상인 라니냐가 발생하면 서태평양 쪽에서는 대형 홍수가, 동태평양 쪽에서는 혹독한 가뭄이 찾아온다.


요즘 새로 생긴 신조어 ‘에그플레이션’은 농업을 뜻하는 에그리컬쳐(agriculture)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이상 기후로 인해 곡물이 잘 자라지 않아 가격이 급등하며 일반 물가마저 올라가는 현상을 말한다. 이것 역시 이상 기후로 인해 생겨난 말이라고 할 수있다.


이같은 재앙은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니라 우리가 불러일으킨 것이 분명하다. 이제 우리는 너나 할것 없이 모두가 지구를 위한 처방을 내리고 적극적으로 치료를 해야 한다. 기사를 쓰기 위해 공부하는 동안 간단하게 우리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것들을 몇 가지 알게 되었고 그 방법을 제시해서 같이 실천하기를 바라는 마음이 간절하다.


1.아나바다 운동(아끼고 나누고 바꿔쓰고 다시쓰는 운동)

2.나무심기-이산화탄소를 없애고 공기를 정화시킨다

3. 분리수거하기- 물건 재활용,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4.자전거 타기,걸어다니기 -매연을 줄이고 에너지를 절약한다.


이처럼 사소한 습관들이 아픈 지구를 치료하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우리에게 이것이 이득이 되어 돌아온다는 것을 꼭 명심해야 한다.


나는 지구가 어느 정도까지는 인간의 이기적인 자세와 무지를 견딜 수 있지만, 고무의 탄성력처럼 어느 날에는 이 인내력이 끊어질까봐 걱정이다. 더 늦기 전에 우리가 다같이 노력하여 다시 옛날의 울창하고 푸른 지구로 돌려놓아야 할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우리의 후손들이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를 현명한 조상이라고 칭찬해 줄 것이다.

박미소 독자 (해강초등학교 / 4학년)

추천 리스트 프린트

 
진훈희
중부초등학교 / 6학년
2011-03-27 17:35:59
| 우리모두가 자연환경에 대하여 관심을가지고 노력한다면 푸른 지구로 돌아오겠죠
 

 

렌즈속세상

놀이터


Template_ Compiler Error #10: cannot write compiled file "/web/webapp/data/ipress/iprdata7/e3/school.president.go.kr_paper/template/kr/_compile/group/68/1/bottom.htm.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