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94호 11월 1일

과학향기 추천 리스트 프린트

차유진 기자 (경희초등학교 / 5학년)

추천 : 150 / 조회수 : 1877

뉴스 공유하기 C
					로그 미투데이 트위터 Facebook

‘한지’, 이렇게 우수한줄 몰랐어요

지난 4월, 학교에서 전통과학에 대한 탐구토론대회가 있었습니다. 친구들과 저는 ‘한지’의 우수성을 알리는 것을 주제로 했습니다. 여러 문헌조사와 함께 여주에 있는 한지문화 체험학교도 다녀왔습니다.


처음에는 대회만을 염두에 두고 한지를 공부했지만, 한지는 자료를 찾아보면 찾아볼수록 매력 있는 면들이 많아 깜짝 놀랐습니다. 원래 종이 만드는 기술은 중국으로부터 들어왔지만, 우리 조상들은 중국의 ‘선지’에 비해 훨씬 뛰어난 한지를 만들어 삼국시대 후반에는 중국에 수출도 했다고 합니다. 외국인들은 동양의 종이 중 일본 ‘화지’를 가장 잘 알고 있지만, 사실 ‘화지’는 한국에서 건너간 ‘한지’기술이 원천이 된 것입니다.


한지를 탐구하다 과거에는 한지로 갑옷(갑의지)도 만들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종이로 갑옷을 만들다니 얼핏 이해가 안가지만 매우 튼튼했다고 합니다. 가볍고도 튼튼했으니 오늘날 방탄조끼로 쓰이는 ‘케블러’ 섬유를 우리 조상들은 이미 수백 년 전에 가지고 있었든 셈입니다.


친구들과 함께 한 과학실험 결과 한지는 단순히 종이로서의 기능 뿐 아니라, 뛰어난 습도조절능력(왜 한옥의 창문에 한지가 쓰이는지를 알게 되었습니다), 항균효과, 내구력(선지, 화지와 비교해 월등했습니다) 등을 갖춘 팔방미인이었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값싸고 글씨가 잘 써진다는 이유로 서양의 종이, 즉 양지를 더 좋아하지요? 한지의 매력에 푹 빠져보세요. 보면 볼수록 정이 간답니다.

차유진 기자 (경희초등학교 / 5학년)

추천 리스트 프린트

 
남윤성
성남신기초등학교 / 6학년
2012-06-10 22:55:36
| 추천! 한지 한 장에는 신비로움이 감춰져 있고, 한지 여러 장에는 견고함이 깃들고, 수 많은 한지가 겹쳐지면 철갑옷처럼 단단하다고 합니다. 예전에 한지를 저도 탐구하면서 체험해 보았답니다. 차유진 기자님, 앞으로 한지를 보면 참 귀하다는 생각도 하겠네요^^ 기사 잘 보았습니다.
곽사라
오산초등학교 / 5학년
2012-06-14 19:42:24
| 친환경 우리의 한지 정말 좋아요 기사 추천해요.
김시연
보정초등학교 / 6학년
2012-06-17 10:07:55
| 케블러 섬유로 까지 성장되어진 우리의 한지! 놀라운 조상들의 지혜입니다.~ 저도 체험해 보고 싶어집니다.^^ 놀라운 발견을 함께 나누게 해준 기사였습니다.^*^추천드려요~
 

 

렌즈속세상

놀이터


Template_ Compiler Error #10: cannot write compiled file "/web/webapp/data/ipress/iprdata7/e3/school.president.go.kr_paper/template/kr/_compile/group/107/1/bottom.htm.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