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31호 3월18일

테마1-물!물!물! 추천 리스트 프린트

허지윤 독자 (하남초등학교 / 5학년)

추천 : 0 / 조회수 : 225

뉴스 공유하기 C
					로그 미투데이 트위터 Facebook

‘팔당 전망대’를 다녀와서

지난 3월 6일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분원리 250-3번지에 위치한 팔당 전망대(물환경 전시관)를 다녀왔다. 이 곳은 2008년 7월 팔당수질개선본부에서 2,400만 수도권 주민의 생명수 제공의 근원인 팔당호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설립한 곳으로 누구든지 관람 할 수 있도록 개방하여 운영하고 있다.(개관시간 10:00~17:30, 휴관일 매주 월요일)


팔당호는 강원도 태백시 검룡소에서 발원한 남한강과 금강산에서 발원한 북한강이 흘러 경안천과 만나 팔당댐을 거쳐 한강으로 다다른다. 팔당은 예로부터 남한강과 북한강이 모이는 두물머리를 지나 최초로 들르게 되는 큰 나루터로써 물류교역의 중심이었으며 항상 많은 사람들이 다니고 물건이 풍족한 지역이었다.


수도권 시민의 상징인 팔당댐은 수도권의 전력 및 용수 공급과 홍수 예방을 위해 1966년 6월 9일 댐 공사를 착공하여 1974년 완공되었다. 위치는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와 하남시 배알미동 사이에 있으며 높이 29m 길이 575m의 댐이다.

팔당댐은 연간 3억 7,800kwh의 전력을 생산하는데 이용되고, 한강유역의 홍수 조절 및 1일 340만톤에 이르는 수도권의 용수로 공급되어 상수도 용수 부족을 해결하고 있다.
수도권의 식수공급원인 팔당 상수원의 수질보전을 위하여 인공적으로 쌓았던 각종 구조물을 걷어내고 그 자리에 인공습지나 징검다리,여울 , 수초 등을 조성, 수질개선사업에 힘쓰고 있다.

팔당호의 오염원은 크게 생활하수, 축산폐수, 산업폐수로 나눌 수 있는데 이런 오염을 줄이기 위해서 가정에서는 합성세제의 사용량을 줄이고 절수기를 설치하며, 기업에서는 공업용수의 사용량을 줄이고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을 자제하고, 농가에서는 농약 사용을 억제하고 하수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국민모두가 하천이나 계곡을 깨끗이 이용하고 상수원 보호구역 등 금지된 지역에서 불법행위를 하지 말아야 한다.


우리나라는 UN이 지정한 물부족 국가이다. 석유가 고갈되면 대체 에너지를 개발 할 수 있지만 물을 대신 할 것은 이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런 소중한 물을 잘 아끼고 이용하여 우리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한다.

허지윤 독자 (하남초등학교 / 5학년)

추천 리스트 프린트

 
 

 

렌즈속세상

놀이터


Template_ Compiler Error #10: cannot write compiled file "/web/webapp/data/ipress/iprdata7/e3/school.president.go.kr_paper/template/kr/_compile/group/44/1/bottom.htm.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