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55호 3월 17일

사회 돋보기 추천 리스트 프린트

윤혜린 기자 (대지초등학교 / 4학년)

추천 : 2 / 조회수 : 83

뉴스 공유하기 C
					로그 미투데이 트위터 Facebook

물 아낌이가 됩시다

옛날에는 목이 마르거나 몸을 씻으려고 할 때는 우물이나 강물을 퍼오면 됐습니다. 뜨거운 물을 사용하고 싶으면 물을 끓여서 사용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물을 마시려면 생수를 사야하고, 약수터로 다녀오려면 먼 곳까지 다녀와야 합니다. 그만큼 물이 중요해졌다는 증거입니다. 조선시대만 해도 물을 사고파는 개념이 없었지만, 지금은 500밀리리터가 700원 이상입니다. 물 부족 현상은 우리나라에도 매우 심각한 문제입니다. 우리도 이미 물 부족 국가이니까요.


물 부족의 예는 얼마든지 있습니다. 중국은 3만 6천 마일의 토지가 사막화 되었습니다. 또한 중국의 669개 마을 중 400개의 마을이 물 부족으로 힘들어 하고 있다하고 그 중 118개의 마을은 너무나도 심각하다고 합니다. 매년 많은 어린이들은 식수가 부족하여 오염된 물을 마시고 병에 걸려 죽어가고 있습니다. 몽골은 이미 50%이상 사막화 되었습니다. 유럽은 정원에 물을 주면 30유로 이상(약54000원)의 벌금이 부과 되며 수영장에 물을 채우면 3000유로 이상(약5400000만원)벌금이 부과 됩니다. 더욱 놀라운 것은 2025년이 된다면 아프리카의 3분의 2, 아시아는 3분의 1이, 그리고 남미는 5분의1이 사막화된다는 것입니다.


도대체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걸까요?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로 강수량이 불규칙해 필요하지 않을 때 많은 비가 오고 필요할 때는 오지 않아 물이 부족한 것입니다. 이것은 환경오염으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 때문에 더욱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둘째, 나무는 물건을 만들 때 쓰입니다. 그 때문에 사람들은 나무를 마구 베어버립니다. 하지만 숲은 꽃과 나무로 이루어져있는데 숲은 물을 저장해 줍니다. 그런데 나무를 베면 숲이 사라지고 물을 저장할 수 없어 물 부족 현상이 심각해지는 것입니다.
셋째, 가장 심각한 이유는 우리가 생각 없이 버리는 쓰레기 때문에 물이 오염되고, 우리가 물을 낭비하는 습관을 고치려고 하지 않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 물장난을 하거나 수도꼭지를 잠그지 않는 것이나, 집에서 목욕할 때나 설겆이할 때 물을 팍팍 쓰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아도 물이 부족한데 물을 팍팍 쓰면 물은 점점 부족해집니다.


그렇다면 물을 아낄 수 있는 방법으로는 무엇이 있을까요? 하수 시설이나 저수지를 만드는 일은 우리가 할 수 없는 일이지만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도 많이 있답니다.


첫째, 샴푸, 세제 등을 아껴 씁시다! 샴푸를 아껴 쓰면 물도 아끼고 돈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둘째, 물장난은 절대 안 됩니다. 물장난을 하면 옷도 젖고 물도 낭비하게 됩니다. 그리고 감기에 걸릴 수 도 있습니다.
셋째, 꽃과 나무를 사랑해야 합니다! 아까 말했듯이 숲은 물을 저장합니다. 심는 것도 중요하지만 가꾸는 것도 중요합니다.


저도 지금까지 물을 많이 낭비했습니다. 하지만 이 글을 쓰면서 저를 많이 반성하면서 앞장서서 물을 절약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여러분도 힘들겠지만 조금씩 노력해 물 아낌이가 됩시다!

윤혜린 기자 (대지초등학교 / 4학년)

추천 리스트 프린트

 
손해수
숭신여자중학교 / 1학년
2011-03-23 16:52:18
| 첫째 둘째는 우리가 가정에서 쉽게 할수 있는일이고 .셋째도 꽃과 나무도 사람해야 겠습니다.
전현환
대륜중학교 / 1학년
2011-03-31 17:40:36
| 기자님의 말씀대로 물아끼기를 실천하면 물부족 국가인 우리나라가, 물부족 국가에서 벗어날수 있을것 같아요. 좋은기사 잘읽었습니다
진훈희
중부초등학교 / 6학년
2011-04-03 18:49:01
| 물의 소중함 기사을 보고 다시한번 생각해봤습니다.
 

 

렌즈속세상

놀이터


Template_ Compiler Error #10: cannot write compiled file "/web/webapp/data/ipress/iprdata7/e3/school.president.go.kr_paper/template/kr/_compile/group/68/1/bottom.htm.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