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93호 10월 18일

문화속으로 추천 리스트 프린트

최시우 기자 (도심초등학교 / 4학년)

추천 : 3 / 조회수 : 168

뉴스 공유하기 C
					로그 미투데이 트위터 Facebook

백제 이야기가 담긴 한성백제박물관

10월 6일, 기자는 친구들과 함께 한성백제박물관을 방문했다. 한성백제박물관은 역사상 처음으로 서울을 수도로 삼아 493년간 역사를 일군 백제 한성시대를 중심으로 서울의 고대 역사와 문화를 조명하는 박물관이다.

먼저 이곳은 3개의 전시실로 나뉜다. 제1전시실은 ‘서울의 선사’, 제2전시실은 ‘왕도 한성’, 제3전시실은 ‘삼국의 각축’에 대해 각각 소개하고 있다.

제1전시실은 문명 초기 서울의 선사문화상과 권력이 출현하고 여러 나라가 성장하는 가운데 백제가 마한의 소국에서 성장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기자는 이곳에서 백제는 동명성왕(주몽)과 소서노의 사이에서 난 비류와 온조 중 온조가 세웠다는 걸 알게 되었다. 온조는 마한의 땅을 빌려 한강 쪽에 성을 짓고, 비류는 바다로 가서 성을 지었다. 온조가 사는 곳은 땅도 기름지고 평화로웠지만 비류가 사는 곳은 물도 짜고 농사짓기에 알맞지 않았다. 그래서 비류가 화병으로 죽고 나자 비류의 백성들이 온조 밑으로 들어갔다. 그때 온조가 세운 성의 이름은 ‘십제’였다. 하지만 그는 ‘백제국’이란 성을 빼앗아 나라 이름을 백제로 바꾸고 점차 세력을 키워나가게 된 것이라고 했다.

제2전시실은 서울을 터전으로 나라를 세워 5백년의 역사를 일군 백제 한성시대의 다채로운 문화를 유물, 모형, 영상 등을 통해 소개한다. 특히,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모형, 백제의 배 모형을 통해 백제왕성의 면모와 바다를 무대로 활동한 해상강국 백제의 기상을 느낄 수 있다. 이때부터 몽촌토성과 풍납토성을 만들고 근초고왕 때 세력이 가장 높았으며, 무령왕릉을 발굴했을 때 백제의 문화가 가장 화려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2전시실에서 가장 눈에 띈 것은 칠지도였는데 가지가 일곱 개여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칠지도는 백제가 일본에게 내려준 것이지만, 일본에서는 백제가 일본에게 바친 것이라고 주장한다고 한다.

제3전시실은 서울과 한강유역을 둘러싸고 전개된 백제, 고구려, 신라 삼국간의 치열한 각축전과 한강에 남겨진 고구려, 신라 문화를 소개한다. 한성 함락 후 웅진(공주)과 사비(부여)로 터전을 옮겨 중흥기를 맞아 문화의 꽃을 피운 백제의 다양한 문화가 펼쳐져 있었다.

성왕은 신라와 힘을 합쳐 한강 유역을 되찾지만, 신라의 배신으로 한강 유역을 뺏기고 관산성에서 전사한다. 무왕과 의자왕 때 부활을 위해 노력했지만, 사비가 함락되자 연합군에 항복하고 백제는 망하게 된다. 기자는 이곳에서 백제가 언제 건국되고 어떤 왕들을 거쳐 멸망하게 되었는지 알게 되었다.

한성백제 박물관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몽촌토성을 짓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몽촌토성을 짓는 방법은 판축법, 삭토법, 성토법, 보축법으로 다양하였다. 판축법은 흙을 일정한 두께로 다진 후 그 위에 계속 쌓아 올리는 방법이고, 삭토법은 지형의 안팎을 적절히 깎아 급경사의 성벽을 만드는 방법이다. 성토법은 흙을 무더기로 막 쌓은 다음, 다 짓는 방법이고 보축법은 성벽이 이어질 수 있도록 기존 지형 사이사이를 보충하여 성을 쌓는 방법이다. 몽촌토성을 만들기 위해 이렇게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였다니, 백제 시대의 건축 기술이 얼마나 훌륭하였는지 새롭게 알게 되었다. 아마 지금 우리나라의 건축 기술이 세계에서도 손꼽을 정도로 발전한 것은 백제 시대의 건축 기술이 큰 역할을 한 것 같다.

한성백제박물관 탐방을 하고 나니, 고구려와 신라가 백제와 어떤 관계였는지에 대해서도 더 자세히 공부하고 싶어졌다. 또 그 나라의 행정, 문화, 무역, 왕이 된 순서 등에 대해서도 더 자세히 알아보고 우리 푸른누리 기자들에게 소개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다양한 역사 이야기를 가진 우리나라가 더욱 자랑스러워졌다.

최시우 기자 (도심초등학교 / 4학년)

추천 리스트 프린트

 
 

 

렌즈속세상

놀이터


Template_ Compiler Error #10: cannot write compiled file "/web/webapp/data/ipress/iprdata7/e3/school.president.go.kr_paper/template/kr/_compile/group/106/1/bottom.htm.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