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2호 11월 5일

문화속으로 추천 리스트 프린트

류연웅 독자 (인천양지초등학교 / 6학년)

추천 : 6 / 조회수 : 501

뉴스 공유하기 C
					로그 미투데이 트위터 Facebook

지구에 오는 고마운 손님 "운석"

우리는 우주의 신비를 알아내기 위해 탐사선을 보내고 우주로 로켓을 쏘아 올립니다. 지구에서는 우주의 정보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지구 밖으로 내보내는 것이겠지요? 그런데 우주에서 지구로 여러 가지 비밀을 풀 열쇠를 가지고 오는 고마운 손님이 있습니다. 바로 운석입니다.

나로호가 발사된 나로우주센터 내 우주박물관에는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운석을 전시해 놓고, 운석 종류별로 설명을 적어 주었습니다.

도대체 운석을 왜 지구에 오는 고마운 손님이라고 표현하는지, 운석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유성체가 지구와 같은 행성 대기를 지나가게 되면 가열되거나 다 타버리거나 부분적으로 타게 됩니다. 이렇게 흔적을 남기며 지나가게 되는 것을 유성 또는 별똥별이라고 하고, 대기 중에서 다 타버리지 않고 땅에 떨어지게 되면 운석이라고 합니다. 유성체가 지구 대기권에 처음 들어오는 속도는 여객기보다 빠르고 제트기가 지나갈 때와 같은 폭발음이 난다고 합니다. 대기와의 마찰열에 의해 표면이 녹으며 밝은 빛을 냅니다.

이러한 현상으로 유성체가 떨어져서 우리나라에 발견된 운석은 5개입니다. 원래는 전라남도의 운곡(1924년), 경상북도의 옥계(1930), 전라남도의 두원(1943년)에서 발견된 석질운석 3개와 함경남도 소백(1938년)에서 발견된 철운석까지 4개였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경기도 가평에서 철운석이 발견되어 총 5개로 늘어났습니다.

단순히 돌덩이로 보이는 운석과 지구의 암석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운석은 환원 환경, 낮은 압력, 물이 없는 건조한 조건에서 생성되었다는 점이 지구의 암석과 다릅니다. 또한 철과 니켈, 합금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지구상의 암석에 비해 비중이 크고 자석에 끌릴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과학자들은 현재 수천개의 운석이 발견된 남극을 오가며 운석을 찾아서 보유(가지고 있거나 간직하고 있음)하고 연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우리보다 앞서서 운석의 가치를 안 미국과 일본은 만여 개 이상의 운석을 찾아내 연구 중이라고 합니다. 지구로 떨어진 운석은 태양계의 탄생과 진화에 관한 많은 정보를 갖고 있습니다. 또한 운석의 연구를 통해 우주의 구성성분과 생물체 존재 여부, 운석이 지구 괘도 진입에 성공할 수 있었던 조건, 운석의 본질적 성분, 행성을 이룬 물질의 종류 등을 알아내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알고 이해하는 과학상식*
1. 태양계? 태양과 태양의 중력에 의해 태양 주변을 돌고 있는 지구를 비롯한 행성, 왜소행성, 혜성, 유성체 등의 천체로 이루어진 모임을 말합니다.
2. 유성체란? 태양계 내에 있는 천체 중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파편들과 같은 덩어리들을 말합니다.
3. 두원운석? 1943년 11월 23일 전남 고흥군 두원면에 떨어진 운석으로 철 함유랑이 다른 운석에 비해 적고 변성도(성질이 변하는 정도)가 높은 콘드라이트(석질운석)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많은 변성을 거치는 과정이 기록되어 있는 두원운석을 연구하면 태양계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4. 석질운석? 규산염광물로 된 운석으로 콘트라이트와 아콘드라이트로 나누어지며 지상의 보통 암석과 비슷하나 지표에서 발견되지 않은 광물이 포함되어 있고, 낙하되는 것을 목격하고 회수한 운석의 대부분은 석질운석입니다.
5. 암석이란? 땅과 같이 지구의 겉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단단한 물질로 화성암(마그마가 차갑게 식거나 굳혀져서 된 암석), 퇴적암(모래, 자갈, 진흙 등이 쌓여서 된 암석), 변성암(화성암과 퇴적암이 온도와 압력, 화학작용을 일으켜 변한 암석)으로 나눕니다.

류연웅 독자 (인천양지초등학교 / 6학년)

추천 리스트 프린트

렌즈속세상

놀이터


Template_ Compiler Error #10: cannot write compiled file "/web/webapp/data/ipress/iprdata7/e3/school.president.go.kr_paper/template/kr/_compile/group/35/1/bottom.htm.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