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52호 2월 3일

문화속으로 추천 리스트 프린트

정혜인 나누리기자 (서울가주초등학교 / 5학년)

추천 : 2 / 조회수 : 139

뉴스 공유하기 C
					로그 미투데이 트위터 Facebook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만난 재치 ‘토끼’ 야 반갑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2011년 1월2일부터 2월 27일까지 신묘년 기념 테마전시가 열리고 있습니다. 토끼띠인 기묘년(1999년)에 태어난 제가 반가운 마음으로 유물속의 토끼를 만났습니다. 귀엽고 사랑스러운 모습이 친근한 토끼를 우리 문화속에는 어떤 모습으로 남아 있는지 살펴봤습니다.

우리 조상님들께서는 토끼를 민첩하고 재치있게 생각했고 신묘년 올 한해도 슬기롭고 지혜롭게 시작하기를 기원하는 마음으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마련되었습니다. 22일 토요일 오후인데도 전국에서 오신 관람객으로 넓고 웅장한 박물관에 가득 했습니다. 가장 인기 있는 코너는 역시 G20 정상회의의 영접장소로서 이명박 대통령 내외께서 세계 정상들을 환하게 맞이 했던 포토존입니다. 내가 세계 최고의 정상이 섰던 자리에 서서 사진을 찍는 곳은 인기도 짱이었습니다. 우리들의 부모님들께서도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장소여서 자녀들을 멋진 포즈로 찍기에 바쁘시고 단체로도 많이 찍고 있었습니다. 저도 찰칵! 찍었는데 기분이 아주 좋았습니다.

올 해의 주인공인 토끼 유물은 박물관을 찾은 모든 분들이 편안하게 보실 수 있게 복도에 전시되어 있었고, 어린이들이 아주 좋아했습니다. ‘여우 같은 아내와 토끼 같은 자식’이라고 말하듯이 토끼는 아주 귀엽고 사랑스러운 동물임에 틀림없습니다. 십이지신 중 달의 전령이고 호랑이와 용 사이에 있는 네 번째 십이지일 정도로 겉보기엔 작고 여리지만 강자 사이에서도 위풍당당하게 힘이 아닌 지혜로 맞서는 슬기로운 존재입니다. 토끼 십이지상의 모습은 문을 형상화한 것으로 나오는데 이것은 만물이 나오는 생명의 탄생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달 속의 토끼가 음을 상징해서 여성과 관련이 많고 높은 번식력때문에 다산을 상징하기도 해서 올 해 전국적으로 아기동생들이 많이 태어나는 한 해가 될 것 같기도 합니다.

토끼와 거북의 이야기는 모두 다 아는 재미있는 이야기가 유물속에서도 그대로 표현이 되고 있고 토끼타령, 수궁가, 별주부전과 토끼전 등 노래와 책으로도 전해져서 오래도록 우리들에게 지혜를 가르쳐 주고 있는 주인공입니다. 토끼 모습이 들어간 연적과 벼루 등 문방구에 많이 묘사되어 있는데 지혜로운 토끼를 상징하는 것 같습니다.

동아시아에서 토끼는 달을 상징하고 장생불사를 뜻하는 도쿄신인 서왕모를 위해 불사약을 만드는 토끼는 달 속에서 약절구를 찧는 모습으로 그려지는데 이것은 장수를 의미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토끼모습은 고구려 고분벽화, 통일신라시대 수막새, 고려와 조선시대의 불화등에도 달 속에 토끼로 남아 있습니다.

아름다운 향로 중 국보 95호인 토끼 받침 ‘칠보무늬 향로’ 는 고려청자를 대표할 뿐 아니라 해외전시에서도 사랑 받는 유물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세 마리의 토끼가 아주 자세히 묘사되어 있고 등으로 받치고 있는 모양이 정말 받치고 있는 듯 해서 그 기술이 정말 놀랍습니다. 두 귀를 쫑긋 세운 세 마리의 토끼가 전체 무게를 지탱하고 있기 때문에 최고의 장인이 아니면 만들 수 없는 최고의 가치를 뽐내는 명품 중 명품 향로입니다. 정말 자랑스러운 우리 문화재입니다.

토끼는 우리들 만큼이나 옛 선조님들께서도 사랑하고 긍정적인 동물로 생각하셨습니다. 보들보들한 털과 짧은 다리 또 까만 작은 두 눈 그리고 쫑긋한 두 귀만 보아도 사랑스러운 모습을 머리에서 발끝까지 가졌습니다. 토끼띠인 모든 분들과 다른 열 한개의 띠인 분들도 새해 福 듬뿍 받으세요.

정혜인 나누리기자 (서울가주초등학교 / 5학년)

추천 리스트 프린트

 
송희원
화홍중학교 / 1학년
2011-02-13 23:05:07
| 토끼와 관련된 유물이 모였다니! 저도 한 번 가보고 싶습니다.
 

 

렌즈속세상

놀이터


Template_ Compiler Error #10: cannot write compiled file "/web/webapp/data/ipress/iprdata7/e3/school.president.go.kr_paper/template/kr/_compile/group/65/1/bottom.htm.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