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생활길라잡이 추천 리스트 프린트

정지인 독자 (동신초등학교 / 6학년)

추천 : 658 / 조회수 : 1814

뉴스 공유하기 C
					로그 미투데이 트위터 Facebook

세탁기 탈수의 과학 원리

학교에서 청소하며 걸레를 빨아보면 걸레를 수영시키듯이 물속에 담아야 한다. 그렇게 하다보면 땟물이 빠져 나가는데 마지막에 물을 짜내야 하는 물이 잘 짜지질 않았다. 그래서 항상 걸레가 물이 줄줄 흐르고 청소가 힘들었다.


한번은 일요일에 집에서 엄마를 도우느라 빨래줄에 빨래를 늘며보니 빨래가 거의 마른 듯이 물이 없었다. 빨래를 했는데 어떻게 이렇게 물이 없지? 세탁기는 어떻게 물을 빼낼까 하는 궁금증이 들었다. 그래서 다음에는 엄마가 빨래할 때 세탁기를 관찰해봤다.

처음에는 물이 통에 가득했고 그속에서 빨래가 춤을 추었다. 그건 손으로 빨래를 주물러 주는 것과 같은 효과라고 했다. 그리고 물이 쫙 한번에 빠져나갔다. 빨래는 여전히 물이 줄줄 흐르는 정도로 내가 걸레를 빤 후 손으로 눌러 짠 것과 같았다.


비밀은 지금부터였다. 세탁기 원통이 돌아가며 물을 빼내는 것이었다. 빠른 속도로 원통이 돌아가기 때문에 우리가 배운 원심력이 작용하여 빨래가 원통의 벽에 달라 붙게 되고 계속 밖으로 달아나려고 하는 원심력 때문에 물이 빠져 나가는 것이다. 원통의 구멍이 아주 작다보니 빨래는 그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고 물만 빠져 나가는 것이다. 그래서 가끔은 작은 빨래의 경우 빨래가 끝난 후에 빨래가 원통의 벾에 붙어 있는 것을 볼 수도 있다.

과학 시간에 배운 원심력이 세탁기에 이용되었다는 것이 신기하며 생활과 과학이 따로가 아니고 주변을 관찰하며 많이 있을 것 같아 앞으로는 여러 가지를 살펴보는 눈을 가져야겠다.

정지인 독자 (동신초등학교 / 6학년)

추천 리스트 프린트

제2연평해전 사이버 추모관

사진이야기

놀이터


Template_ Compiler Error #10: cannot write compiled file "/web/webapp/data/ipress/iprdata7/e3/school.president.go.kr_paper/template/kr/_compile/group/26/1/bottom.htm.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