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71호 11월 17일

푸른칼럼 추천 리스트 프린트

허학성 나누리기자 (서울신흥초등학교 / 6학년)

추천 : 13 / 조회수 : 414

뉴스 공유하기 C
					로그 미투데이 트위터 Facebook

지속 가능한 세계를 위해 10%가 만들어준 90%의 행복

사회시간에 수업을 듣다보면 가난한 국가 국민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을 겁니다. 오염된 물을 마시면서 약 하나 살 돈이 없어 죽어가고 있는 사람들, 우리가 지속적으로 사회단체를 통해 관심을 보여주고 도와주고 있지만 스스로 자립하지 못하고 있는 국가와 국민을 위해 10%는 작지만 참신한 디자인을 개발해 냈습니다.

첫 번째 ‘라이프 스트로우’라는 생명빨때 라는 것입니다. 먹을 것이 없어서 죽어가고 있는데 물마저도 깨끗한 물을 마시지 못해 병들어 죽어가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덴마크의 VFG가 10여년에 걸쳐서 발명한 제품으로서 휴대용 정수 필터의 역할을 합니다. 인간에게 치명적인 디프테리아, 장티푸스, 콜레라를 일으키는 미생물들을 효과적으로 걸러내 주며, 박테리아도 걸러내 주는 작지만 대단한 빨대 입니다.

두 번째 ‘피푸 백’입니다. 용변보는 가방으로 직역을 할 수 있겠는데, 과연 지속가능한 디자인으로서 어떻게 쓰이는 것일까요? 바로 1회용 휴대 용변기입니다. 남반구 개발도상국 일부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거리가 오물이나 용변으로 오염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오염사태가 확산되지 않도록 스웨덴의 피플레가 개발한 제품입니다. 일회용은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 ‘피푸 백’은 천연소재로 만들어져 용변과 함께 천연비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물건 하나로 두가지의 문제점을 잡을 수 있는 멋진 환경전도사 ‘피푸 백’ 이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소개하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은 덴마크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미술문화운동집단인 수퍼플랙스에서 개발한 ‘바이오 가스 시스템’ 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스가 전달되지 않아 가스레인지를 켜지 못하고 보일러 난방을 하지 못하는 지역은 오지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남반구, 특히나 아프리카 지역은 내전, 국가의 재력 문제로 제대로 된 산업 기반이 없어 가스 전달망을 구축하지 못한채 야생에서 살아가다 싶이 하고 있습니다. 그들에게 태양광과 배설물로 발전을 일으켜 가스를 만들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해 주는것, 그것이 마지막 지속가능 디자인‘바이오 가스 시스템’ 입니다.

위 사례에서 공통점은 유럽국가에 의해서 지원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특히 스웨덴, 덴마크 이렇게 북유럽에서 말이지요. 그들은 인격을 바탕으로한 깊이있는 민주주의와 잘 구축된 복지 시스템으로 인간의 삶을 더 좋게 하고자하는 취지에서 만들어진 디자인이 대부분이라고 합니다. 현실속에 피폐해진 우리나라와는 대조되는 분위기 입니다.

세계 경제포럼에서는 매년 지속가능한 세계의 100대 기업 리스트를 뽑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삼성과 포스코가 2010년 그곳에 이름을 올렸지만 삼성91위, 포스코 93위로 맨 끄트머리에 그 이름을 올렸을 뿐입니다.

소외된 90%의 사람들은 10%보다 경제수준에 비해 월등히 떨어집니다. 그들과 공생하기 위해서 10%는 100%가 되고자 1%씩 90%에서 점점 상위로 끌어오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그저 살기에 바쁩니다. 우리나라가 90%에 속했던 시절을 기억하지 못하고 말입니다. 옛날을 떠올리고, 수많은 나라가 우리나라를 도와주었던 그 시절을 생각한다면 우리도 나눔을 실천해야 하겠습니다.

허학성 나누리기자 (서울신흥초등학교 / 6학년)

추천 리스트 프린트

 
신지혜
영훈국제중학교 / 1학년
2011-11-18 16:05:03
| ‘라이프 스트로우’ 정말 신기하네요~
나눔을 실천해서 모두가 행복해졌으면 좋겠어요.^^
추천합니다~
정최창진
서울교동초등학교 / 6학년
2011-11-20 18:54:37
| 맞아요. 우리 주변에도 고생하는 분들이 참 많은데 잘 생각을 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모두가 행복한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추천하고 갑니다.
기종관
대선초등학교 / 5학년
2011-11-21 15:55:31
| 생명빨대는 멋진 발명품인것 같습니다. 소외된 나라의 국민들에게 정말 필요할 것 같아요. 사진속의 아이들을 보니 모두가 행복해지는 사회가 빨리 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좋은기사네요. 추천합니다.
허학성
문성중학교 / 1학년
2011-11-22 17:47:15
| <신지혜 기자님> 저도 처음보면서 정말 신기했습니다.
간단한 생각이였지만 아무도 생각하지 않았던 것이기에 더욱 값진 발상이였겠지요^^ 추천 감사합니다~
허학성
문성중학교 / 1학년
2011-11-22 17:49:05
| <정최창진 기자님> 그러게요, 조금만 생각을 달리 해 보아도 넘쳐나는 것이 아이디어인데 행복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부족한 2%가 바로 아이디어라는 말이 있듯이 말입니다. 추천 감사합니다^^
허학성
문성중학교 / 1학년
2011-11-22 17:50:43
| <기종관 기자님> 생명빨대도 멋진 작품이고, 그 외에도 소개된 2가지도 멋진 아이디어의 산물이지요^^ 원래는 피푸백을 중점적으로 다루려고 했는데, 사진이 없네요.. 기종관 기자님의 생각 하나도 행복한 사회를 위해 큰 도움이 될겁니다! 추천감사합니다~
이유빈
안룡초등학교 / 5학년
2011-11-25 20:25:00
|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저는 유니세프에서 하는 아프리카 신생아 모자뜨기행사에 참여하였는데 앞으로도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겠습니다~ 추천합니다!
정은교
서울창도초등학교 / 5학년
2011-11-27 13:50:46
| 라이트 스프로우가 정말 신기해요.
박주미
안양신기초등학교 / 5학년
2011-11-28 17:55:25
| 라이프스트로우 피푸백의 도움이 없이 살수 있는 대한민국에 태어나서 참 행복해요. 그러니 꼭 나누는 삶을 실천하고 싶어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서보원
가좌초등학교 / 6학년
2011-11-28 21:23:12
| 저두 나누는 삶을 살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이 기사를 보니 감사함이 느껴지네요
유은빈
호성중학교 / 1학년
2011-11-29 22:14:50
| 라이프 스토로우의 발명이 생명을 소중하게 느끼는것 같아 기분 좋아요.
허학성
문성중학교 / 1학년
2011-11-30 16:42:40
| <이유빈 기자님> 좋은 행사에 참여하신 경험이 있으시네요^^ 역시 중요한것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라고 봅니다. 추천 감사합니다~
허학성
문성중학교 / 1학년
2011-11-30 16:44:38
| <정은교 기자님> 저도 처음 보면서 신기하게 보였습니다^^ 그런데 원리를 알고보니 간단하게 느껴졌습니다. 정수기 필터를 빨때안에 설치한 것과 비슷하니까요, 간단하죠? 그외에도 밑에 2가지를 소개한것도 관심있게 봐주세요^^
허학성
문성중학교 / 1학년
2011-11-30 16:47:05
| <박주미 기자님> 정말 감사해야 할 일이라고 봅니다. 대한민국이란 나라에 태어나서 말이지요. 그러고 보면 나눔이란건 돌고 돌아야 모든사람들이 행복하게 살 수 있는 것 같아요^^ 나누는 삶! 앞으로 열심히 실천해 주세요~
허학성
문성중학교 / 1학년
2011-11-30 16:48:14
| <서보원 기자님> 제가 항상 강조하는 것이지만, 실천이 중요한 것이지요^^ 서보원 기자님의 마음, 행동으로 옮겨져 꼭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허학성
문성중학교 / 1학년
2011-11-30 16:49:13
| <유은빈 기자님> 생명이란건 정말로 소중한 것이지요. 우리의 기술을 통한 나눔에도 목적이 있지만 나눔을 통해 생명이 소중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자리를 마련해 주는것이라고 봅니다.
박재원
불광중학교 / 1학년
2011-11-30 23:39:04
| 나눔의 중요성을 다시 깨닫게 해주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추천드립니다^^
김세경
서울백석중학교 / 1학년
2011-12-01 14:06:51
| 허학성기자님의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그 동안 말로만 들었던 ‘라이프스트로우’의 사진이 너무 가슴아프고 애잔합니다. 모두가 서로를 존중하고 사랑을 나눌수 있는 우리가 되어야 겠습니다. 아름다운 기사 잘 읽고 추천하고 갑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렌즈속세상

놀이터


Template_ Compiler Error #10: cannot write compiled file "/web/webapp/data/ipress/iprdata7/e3/school.president.go.kr_paper/template/kr/_compile/group/84/1/bottom.htm.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