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호

특집 리스트 프린트

조윤교 (서울언북초등학교 / 6학년)

뉴스 공유하기 C
					로그 미투데이 트위터 Facebook

우리의 맛을 찾아서 - 김치박물관

우리가 매일 즐겨먹는 음식으로 김치를 꼽을 수 있다. 김치는 질리지도 않고, 유산균이 많이 들어있어 사람들에게 이로운 음식이다. 내가 아는 김치종류는 몇가지 되지않는다. 그래서, 김치에 대해 잘 알 수 있는 김치 박물관을 한번 찾아가 보기로 했다.

김치란 ‘소금에 절인 채소’라는 뜻의 한자인 침채가 우리말의 ‘김치’로 변한 것이다. 김치는 배추,무,오이 등을 소금으로 절여 고추, 마늘, 파, 생강, 젓갈 등의 양념으로 버무려 담그어 숙성, 발효시킨 유산균발효음식이다. 선사시대와 삼국시대에는 여러가지의 채소를 소금, 장류, 식초, 술이나 술지게미등에 절이고 쌀이나 기타 곡물을 섞어 발효를 촉진시키고 맛을 좋게 하여 지금의 장아찌와 비슷한 형태로 먹었다.

고려시대에는 부추, 미나리, 죽순 등 김치에 들어가는 채소가 다양해졌다. 또한 물김치의 종류인 동치미류의 김치가 등장하였고, 김치에 파, 마늘 등의 향신료가 가미되는 양념형 김치도 등장했다.


조선시대 초기에는 김치류의 제조가 활발해지고 김치의 원료가 더욱 다양해지면서 장김치 같은 김치도 나왔다. 전기에는 주재료와 양념의 구분이 생겨 죽순, 토란줄기, 꿩, 파, 마늘, 아욱 등이 주원료로 사용되고, 양념으로 생강, 마늘, 산초 등이 사용되었다. 젓갈은 사용되지 않았다.


조선시대 후기에는 고추가 유입되어 김치 양념의 하나로 쓰였다. 김치에 고추가 들어가고 다양한 젓갈이 쓰이면서 식물성과 동물성이 어우러진 맛과 영양의 조화를 이루어 맛이 한층 좋아졌다. 배추는 조선 후기부터 재배되어 김치의 주재료로 자리잡았다.


김치의 종류에는 겨울철에 먹는 배추김치, 백김치, 통무김치 봄에 먹는 미나리김치, 얼갈이김치, 햇배추김치 여름에 먹는 열무김치, 오이김치, 부추김치 가을에 먹는 총각김치, 가지김치, 굴깍두기 등이 있고 그외에도 석류김치, 숙 깍두기, 나박김치 등이 있다.

김치를 저장하는 방법은 옹기(김치를 저장하는 독과 항아리를 통틀어 일컫는다) 나 나무김치독(태백산이나 개마고원과 같은 산촌에서 김치를 저장했던 독으로 산촌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나무로 저장용기를 만듬) , 김치광(땅에 김칫독을 묻고 그 위에 가는 통나무를 원뿔 모양으로 세워 짚을 덮어 작은 움집으로 만든 광) , 석정(우물이나 개울에 이중으로 된 김치항아리)이 있다. 또 옹기에 흰 버선을 걸어두었다. 이는 버선에 김치냄새를 맡고 올라온 벌레들이 버선 안에 모이게 해서 없애는 효과가 있고, 버선은 발로 벌레를 죽이게 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고 믿는 미신적인 풍습이다.

배추김치 만드는 순서는 절이기-양념준비-기타 재료준비-속넣기-저장하기-김치의 발효과정의 순으로, 이렇게 만들어진 김치에는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고 항암효과와 노화억제에 효과가 있고,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있고, 장을 깨끗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김치박물관을 둘러보고나서, 내가 모르고 먹던 김치의 여러가지 좋은 점과 김치의 재료, 역사를 알게 되니 너무 좋았다. 또 관람하던 중 우리나라 사람보다도 일본관광객들이 많아 다시 놀랐다. 관광객들은 우리나라의 김치에 대해 관심이 많아서, 김치도 시식해보고 맛에 대해 감탄했다. 이런 우리의 김치를 세계인의 입맛에 맞는 김치로 성장시키는 것이 바로 우리들의 의무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박물관을 나서면서 우리의 김치가 자랑스럽게 느껴졌다.

위치: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59번지 코엑스몰 지하2층

전화: (02)6002-6456

개관일: 화-일요일 오전9시-오후6시 휴관일: 매주 월요일, 신정, 구정연휴3일, 추석연휴3일, 성탄절

<사진 윗줄 좌 : 각 계절마다 먹는 김치의 종류들을 모은 것, 사진 윗줄 우: 김치 등을 담는 옹기,

사진 아랫줄 : 개마고원이나 산촌에 사는 사람들이 김치를 담는 나무로 만든 김치독>

조윤교 기자 (서울언북초등학교 / 6학년)

리스트 프린트

사진이야기

놀이터

늙은 거지 이야기
늙은 거지 이야기
기탄교육제공

Template_ Compiler Error #10: cannot write compiled file "/web/webapp/data/ipress/iprdata7/e3/school.president.go.kr_paper/template/kr/_compile/group/18/1/bottom.htm.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