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101호 2월 21일

과학향기 추천 리스트 프린트

KISTI

추천 : 296 / 조회수 : 4029

뉴스 공유하기 C
					로그 미투데이 트위터 Facebook

축구 천재도 피해갈 수 없는 부상!

1. 9월 14일, 발렌시아(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경기 중 상대편 수비수의 태클에 걸려 왼쪽 발목이 부러지는 중상을 입었다. 그는 결국 산소 호흡기를 착용한 후 들것에 실려 나갔다.


2. 한 축구 동호회 멤버인 직장인 A씨(31세). 친선경기를 하던 중 후반전 시작하자마자 종아리 양쪽에 쥐가 나서 더 이상 그 경기에 뛸 수 없었다.


축구는 국내에서 이미 국민 스포츠라고 할 정도로 인기가 있으며 그에 따른 축구경기 참여자와 선수들은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축구경기는 급격한 감속과 방향전환, 태클, 어깨싸움과 같이 선수들과의 충돌이 많은 스포츠이기 때문에 부상당할 위험이 높다.


이렇듯 축구경기에는 부상이 따르기 마련인데, 이동국(전북현대), 곽태휘(교토상가 FC), 박지성(맨체스터 유나이티드)과 같은 유명 선수들도 경기 중 부상을 당했으며, 이로 인한 수술과 재활로 많은 시간을 보냈다. 브라질의 간판스타였던 호나우두(SC 코린티안스)도 경기 중 세 번이나 전방십자인대 부상을 당했다.


이처럼 축구는 공 하나를 두고 22명의 선수가 그라운드 내에서 뛰기 때문에 그에 따른 부상이 다른 종목에 비해 많고, 부상을 예측하기 힘들다. 특히 경기 중 방향을 전환하거나 갑작스럽게 속도를 줄여야 하는 상황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무릎 손상이 많다. 다음은 축구경기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부상들이다.


먼저 가장 빈번한 부상으로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있다. 전방인대는 무릎관절 안정성을 위해 매우 중요한 인대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황선홍(현 부산아이파크 감독), 이동국(전북현대), 곽태휘(교토상가 FC) 등과 같은 유명 선수들이 전방십자인대 부상을 당해 많이 알려졌다. 전방 십자인대가 완전히 파열되면 반드시 수술이 필요하며, 재활기간도 8개월에서 1년까지 걸리는 아주 심각한 손상이다. 대부분의 선수들은 축구경기 중 접촉성 손상보다는 비접촉성 손상이 많이 발생한다. 페인팅 중 방향을 전환하거나 상대 선수를 제치기 위한 동작 등을 할 때, 발바닥이 땅에 고정된 채로 상체와 무릎관절을 회전하거나 갑작스럽게 속도를 줄이면 십자인대가 과부하를 받아 손상되는 것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다음으로 햄스트링 근육 좌상이 있다. 월드컵을 앞두고 이동국(전북현대), 박주영(AS모나코), 차두리(셀틱 FC)와 같은 국내 유명선수들이 햄스트링에 손상을 입었다. 햄스트링이란 허벅지 뒤쪽에서 주로 무릎을 접는 역할을 하는 근육이다. 앞서 말했던 선수들 외에도 상당수의 선수들이 햄스트링 손상으로 고생을 한다. 햄스트링은 주로 대퇴사두근(허벅지 앞쪽에 있는 강하고 큰 근육)이 수축할 때 브레이크 역할을 해주는 근육이라고 할 수 있다. 주로 근육 피로나 다리 길이의 불일치, 햄스트링 근육 간 힘의 불균형에 의해 손상되며 축구경기에서 주로 강한 슈팅과 슈팅 시 헛발질, 갑작스러운 출발 또는 감속, 방향을 전환할 때 손상된다.


대부분의 햄스트링 손상은 재발되는 경우가 많아 한 번 손상된 선수들은 꾸준한 관리와 주의가 필요하다. 손상 후 회복기간은 최소 4주에서 길게는 8주 이상 걸리며 초기에 얼음찜질과 같은 처치가 중요하다.


또 흔히 발생하는 부상으로 발목염좌가 있다. 이 부상은 발목이 심하게 꼬이거나 접질렸을 때 발목관절을 지탱하는 인대들이 손상을 입어 발생한다. 특이하게도 발목염좌를 한 번이라도 입은 선수들은 그렇지 않은 선수들에 비해 다시 발목염좌를 당할 확률이 5배 이상 높다.


처음 발목염좌 시에 많은 통증과 부종이 있지만, 반복적인 발목손상은 통증과 부종이 처음과 비교해 점점 감소된다. 이로 인해 선수들은 발목염좌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다음날 다시 훈련을 하거나 경기를 뛴다. 하지만 통증과 부종의 양이 적더라도 발목관절과 인대는 점점 약해지게 되고, 결국 만성 발목 불안정을 만들기 때문에 작은 부상이라도 충분한 휴식과 치료가 필요하다.


실제로 축구경기에서는 이보다 더 많은 손상을 입는다. 때문에 축구를 하는 사람들은 항상 치료의 가장 기본 원칙인 PRICE를 알아야 한다. PRICE는 부상 부위의 보호(Protection), 휴식(Resting), 얼음찜질(Ice), 압박(Compression), 심장보다 높게 들어올림(Elevation)을 뜻한다. 우선 부상을 당했다면 부상 부위를 고정시키고 안정과 휴식을 취해야 한다. 다친 후 상처 부위는 얼음찜질을 해 혈종이나 통증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손상 부위를 심장보다 높이 두어야 출혈 과다와 붓기를 완화시킬 수 있다.


축구경기에서 발생되는 부상 중 충돌에 의한 부상은 거의 예방하기 힘들며 피할 수도 없지만, 인대나 근육의 비접촉성 손상 등은 몇몇 훈련에 의해 예방할 수 있다. 우선 경기 전과 후에 확실한 스트레칭을 한다. 경기 전에 하는 스트레칭은 실제 경기 시 갑작스러운 동작에서 발생되는 근육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선수뿐만 아니라 축구를 즐기는 일반인들도 반드시 경기 전, 후에 확실한 스트레칭이 필요하다.


또한 허벅지 뒤쪽 근육과 종아리 근육의 근력을 강화시키는 훈련을 하면 인대 손상과 같은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복근과 등 근육과 같은 몸통 근육은 우리 몸에서 힘을 발생시키는 원천이다. 몸통 근육이 약하면 당연히 하체 쪽으로 스트레스와 부하가 많이 갈 것이며, 이는 부상의 원인이 될 수 있으니 몸통 근육 운동도 소홀히 하면 안 된다. 이 밖에도 피로가 쌓였거나 컨디션이 좋지 않은 날에는 무리한 훈련을 피하고, 부상 후에는 얼음찜질과 같은 즉각적인 치료를 한 뒤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한다.


2010년 11월에는 중국 광저우에서 아시안 게임이 개최되어 우리 국민들을 한마음으로 뭉치게
할 것이다. 하지만 경기에 직접 참여하는 선수들은 관객들에게 희열감과 감동을 안겨주기 위해 인간의 신체능력을 한계까지 올려야만 한다. 실제 스포츠 현장에서 이런 강도 높은 신체적 활동은 선수들에게 부상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동호회와 여가 스포츠 참여자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어, 일반 참여자들에 대한 부상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대부분의 일반인들은 체계적인 훈련을 받지 않았음에도 선수들이 사용하는 멋있는 기술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부적절한 동작들은 다양한 부상을 일으킬 수 있다. 부상은 선수들에게도 문제가 되지만 일반인들에게도 일상생활을 저해시키고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스포츠 활동에 앞서 적절한 스트레칭과 부상 예방법을 숙지해 이 같은 부상 위험을 최소화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글 : 송준섭 유나이티드병원장/2010남아공 월드컵 대표팀 주치의

-기사제공: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과학향기’


KISTI

추천 리스트 프린트

 
안진용
용두초등학교 / 6학년
2010-10-22 19:38:13
| 저도 친구들하고 축구하지만 다리를 많이 다치게 되던데요
오두나
성남동중학교 / 1학년
2010-10-22 20:46:21
| 조심조심 뛰어야 겠지만 부상을 당할 수도 있으니 예방 법도 숙지해야 겠군요.
이예림
세류중학교 / 2학년
2010-10-22 21:39:52
| 우리반 남자애들에게 경고좀,,ㅠㅠ
이채원
대구대서초등학교 / 5학년
2010-10-22 22:07:16
| 축구선수들께서 많은 부상을 당하시는 것을 보면 정말 안타까웠는데 그렇게 심한 부상이었다니...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김민중
서해중학교 / 1학년
2010-10-24 21:08:50
| 기사 잘 읽었습니다
박소영
성명여자중학교 / 2학년
2010-10-25 19:19:36
| 축구선수들이 부상을 생각보다 많이 당했군요... 너무 힘들 것 같습니다ㅜ.ㅜ
최시헌
성광중학교 / 2학년
2010-10-28 15:10:30
| 열심히 노력하는것도 중요하지만, 부상에서의 관리도 더욱 중요한것 같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이어진
언남초등학교 / 6학년
2010-10-31 20:30:20
| 저도 축구하다가 다친 적이 있어요 ㅠ.ㅠ
김률리
일곡중학교 / 1학년
2010-10-31 21:39:54
| 전 축구를 많이 좋아해서 학교 점심시간 마다 친구들이랑 축구를 하는데 가끔 발에 쥐가 나서 못 뛴적이 몇번 있었어요~그리고 가끔 공을 잘 차던 제가 헛발질을 하기도 했구요ㅠㅠ 그런데 이유가 다 있었군요! 이제 다음부터서는 축구를 할때 준비운동을 미리 한 뒤 축구를 해야 겠어요~그래야지 축구를 할 때 웬지 모를 자신감이 생길 것 같아요^^ 추천~!
임지오
한얼초등학교 / 6학년
2010-11-01 20:56:32
| 부상의 종류가 이렇게 많았군요!!
윤희서
동안초등학교 / 6학년
2010-11-01 21:17:40
| 전 심한 운동을 하는것도 아닌데, 요즘 다리가 자주 아프고 다리근육이 막 떨릴때도 있습니다. 부모님께서는 성장 하느라 그렇다고 하시는데, 다음번엔 저희 초등학생들이 많이 격고있는 ‘성장통’ 에 관한 전문지식 좀 알려주세요.^^
이채정
서현초등학교 / 6학년
2010-11-04 19:43:41
| 그렇군요. 부상에 관해서 알 수 있었어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손해수
숭신여자중학교 / 1학년
2011-05-09 17:43:20
| 우리 삼촌도 조기축구를 열심히 했는데 부상으로 축구를 못해요 부상안당하는게 최선인거 같아요
 

 

렌즈속세상

놀이터


Template_ Compiler Error #10: cannot write compiled file "/web/webapp/data/ipress/iprdata7/e3/school.president.go.kr_paper/template/kr/_compile/group/114/1/bottom.htm.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