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66호 9월 1일

문화속으로 추천 리스트 프린트

위상비 나누리기자 (순천북초등학교 / 6학년)

추천 : 7 / 조회수 : 475

뉴스 공유하기 C
					로그 미투데이 트위터 Facebook

고인돌을 찾아라!

고인돌을 여러 곳에서 본 것 같아 순천지역에 있는 고인돌을 찾아 나서기로 했다. 고인돌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이다.

순천에서 고인돌이 가장 많은 곳은 순천시 송광면 우산리 466에 있는 순천 고인돌 공원이다. 1991년 완공된 주암댐 건설 당시 수몰 지역에 있던 선사유적들을 옮겨 복원해 놓은 공원이다. 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154호로 지정되었으며, 선사시대 조상의 생활양식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역사자료이다.

순천·화순·보성 지역의 구석기 유적 4개소와 집단취락지 4개소, 고인돌 24개소 400기, 선돌 4기, 백자도 요지 1개소를 발굴하여 그 중 대표적인 고인돌군을 이전하여 조성하였다. 공원은 야외전시장과 유물전시관·묘제전시관으로 구성되고, 그 중 야외전시장에는 고인돌 140여 기와 선사시대 움집 6동, 구석기시대 집 1동, 남북방식 모형 고인돌 5기, 솟대, 선돌 등이 전시되어 있다.

고인돌을 본 듯한 장소를 기억하며 지난 8월 23일 화요일 오전 8시 숲 체험 학습을 했던 순천대학교부터 갔다. 순천대학교에서 큰 돌을 본 것 같았기 때문이다.

순천대학교에 있는 큰 돌은 고인돌이 맞았다. 여수시 율촌면 가장리 평촌 고인돌이었다. 본래 율촌면 가장리 평촌 83-4번지 일대의 밭에 있었다. 문화마을 조성공사로 말미암아 훼손될 위기에 처해 농어촌진흥공사의 용역을 받아 순천대학교 박물관이 발굴조사하고 이 자리에 복원되었다. 1999년 8월 7일부터 약 20일간에 걸쳐 3기의 고인돌 하부구조를 조사하였다.


덮개돌이 가장 큰 1호 고인돌의 하부구조가 잘 남아있었는데, 돌덧널은 깬돌을 이용하여 축조하였다. 돌덧널 위 장축방향은 덮개돌의 장축방향과 일치한 남북방향이다. 전형적인 남방식 고인돌 형식이다. 2,3호기는 고인돌 하부구조는 파괴되어 일부만 남아있다. 지하에 돌로 널을 만들어 죽은 사람을 안치하고 그 위에 거대한 덮개돌을 덮어 무덤지하의 돌널을 보호하고 있다.
조례동 1092번지에서 다른 고인돌을 찾았다. 처음에는 공사장 칸막이로 막혀 있어서 고인돌이 보이지 않았다. 안내문만 겨우 보여 읽어보니 고인돌이 맞았다.

1995년 순천대박물관에서 조사한 고인돌로, 원래 10여 기가 분포하고 있었지만, 택지조성사업으로 파괴·유실되어 2기만 남아 있다. 1호 고인돌은 받침돌 2개가 괴석형 덮개돌을 괴는 전형적인 남방식 고인돌로, 장축은 동서 방향으로 놓였다. 석곽은 길이 164cm, 폭 25~42cm, 깊이 17~25cm로, 비교적 작은 활석(割石, 깬돌)으로 축조되었다.

출토유물은 마제 돌칼 조각 1점과 돌 화살 조각 1점이다. 뚜렷한 석곽시설을 갖춘 지석묘는 아니며 덮개돌 밑에 깬 돌을 한 겹 정도 깐 것으로 보아 무덤이 아닌 다른 기능으로 쓰였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만약 무덤의 용도였다면 세골장(洗骨葬; 시신의 뼈만 추려 다시 묻음) 같은 장법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2호 고인돌에는 의례용 유물로 여겨지는 돌칼이 부장되어 있었다.


조례동에 있는 고인돌은 순천대학교에 있는 고인돌과는 다르게 쓰레기 더미와 공사장 칸막이, 공사 자재와 잡초들 때문에 고인돌이 잘 보이지 않았다. 순천지역에 있는 고인돌을 조사하면서 고인돌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문헌 : 네이버 백과사전)

위상비 나누리기자 (순천북초등학교 / 6학년)

추천 리스트 프린트

 
위청비
순천북초등학교 / 6학년
2011-09-01 22:37:49
| 고인돌이 공사장 칸막이로 가려져 있어서 찾기가 힘들었어요. 시민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장제우
서일중학교 / 1학년
2011-09-05 00:21:04
| 강화와 고창에서 고인돌을 보았는데, 순창에도 고인돌이 있네요. 좋은 취재 하셨습니다. 추천드립니다.
위상비
순천매산중학교 / 1학년
2011-09-05 07:58:48
| 장제우 기자님 저는 강화를 못 갔어요.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강화와 고창에서 고인돌을 보고 싶어요. 추천 감사합니다.^^
손해수
숭신여자중학교 / 1학년
2011-09-13 11:02:24
| 모르고 보면 고인돌인줄 모르고 지나치겠네요.지속적인 관리를 했음 좋겠어요.
위상비
순천매산중학교 / 1학년
2011-09-13 19:04:30
| 손해수 기자님 저도 처음엔 고인돌인줄 모르고 지나칠 뻔했는데, 자세히 보니 고인돌이더라구요^^ 제가 생각해도 관리를 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렌즈속세상

놀이터


Template_ Compiler Error #10: cannot write compiled file "/web/webapp/data/ipress/iprdata7/e3/school.president.go.kr_paper/template/kr/_compile/group/79/1/bottom.htm.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