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101호 2월 21일

과학향기 추천 리스트 프린트

KISTI

추천 : 523 / 조회수 : 8345

뉴스 공유하기 C
					로그 미투데이 트위터 Facebook

한반도의 익룡은 어떻게 살았을까?

“한국에서도 공룡화석이 발견되나요?”
“한국에서는 공룡발자국만 발견되지요?”
“익룡도 공룡인가요?”
“익룡의 흔적도 한반도에서 발견되나요?”


중생대에 살았던 공룡과 척추동물들을 연구하는 저는 특강을 할 때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공룡수업을 할 때 종종 앞에서 나온 질문을 받습니다. 이 중에서도 ‘한반도에 살았던 익룡’의 정체를 설명할 때 가장 흥미진진한 표정을 짓더군요.


중생대 하늘의 지배자인 ‘익룡’은 공룡이라기보다 하늘을 날았던 파충류로 분류되는 동물입니다. 양 날개를 활짝 펴고 활강하듯이 날아다니는 모습 때문에 새나 박쥐와 비슷한 동물로 잘못 인식되기도 하지만 익룡의 날개구조는 새나 박쥐의 날개와는 완전히 다릅니다.


새의 경우 깃털이 날개를 이루지만 익룡의 날개는 깃털이 아닌 막으로 구성됩니다. 익룡의 네 개의 손가락 가운데 네 번째 손가락만 길게 발달돼 날개막을 지탱하는데, 이러한 날개막은 익룡의 손가락과 몸통 사이를 연결해 커다란 날개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죠.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처음으로 등장한 익룡. 이들은 쥐라기와 백악기에 이르는 1억 6000만년 동안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했습니다. 특히 쥐라기를 주름잡았던 익룡과 백악기에 살았던 익룡은 겉모습만 해도 많은 차이점을 발견할 수가 있습니다.


쥐라기에 살았던 람포린쿠스(Rhamphorynchus)와 같은 ‘람포린코이드’ 익룡들은 양 날개를 편 길이가 주로 1~2m 정도고, 이빨을 지니고 있으며 꼬리가 긴 것이 특징입니다. 주로 물고기를 먹었을 것으로 추측되죠. 이에 비해 백악기 하늘에는 ‘프테로닥틸로이드’류 익룡들이 살았습니다. 이들은 커다란 몸집을 지니고 있습니다. 꼬리가 매우 짧거나 거의 없을 정도로 그 역할이 작아졌다는 것이 쥐라기 익룡들과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이런 익룡들은 한반도에도 살았을까요? 물론입니다. 그 흔적은 지금도 여러 곳에서 나타나고 있고, 최근에는 경상북도 군위에서 거대한 익룡 발자국이 발견돼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습니다. 우선 2001년 경상남도 하동에서 발견된 익룡뼈부터 살펴볼까요?


하동군 진교면 방아섬의 중생대 백악기 초기지층에서 발견된 익룡의 날개뼈 화석은 한반도에서 발견된 최초의 익룡뼈입니다. 발견된 뼈의 길이는 약 247mm로 뼈의 너비가 26.5mm이고, 단면이 납작한 타원형입니다. 이것은 익룡의 날개뼈를 이루는 뼈들 가운데 첫 번째 날개뼈를 이루는 부위죠. 뼈 속이 비어있고, 뼈막의 두께가 매우 얇은 전형적인 익룡뼈의 특징을 보입니다.


이 뼈의 주인공을 알아내기 위해 중국과 일본의 백악기 지층에서 발견된 익룡 화석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백악기 초기 중국에서 살았던 ‘쭝가립테루스’(Dsungaripterus)와 그 크기와 형태가 가장 가까운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쭝가립테루스는 양 날개를 모두 편 길이가 약 3~3.5m 정도이고, 두개골의 길이는 약 40~50cm입니다. 주로 어패류를 잡아먹었을 것으로 되는 추정되는 녀석이지요.


이밖에도 우리나라에서는 전라남도 해남, 경상남도 사천 등지에서 익룡발자국이 발견돼 학계에 보고된 바가 있습니다. 또 우리나라 백악기 지층에서도 다양한 익룡의 발자국화석이 확인됐고요. 그런데 지난 9월 세계에서 가장 큰 익룡 발자국화석이 경상북도 군위에서 발견됐습니다. 발자국의 길이가 354mm, 폭은 173mm로 크기로 볼 때 몸집이나 양 날개를 편 길이가 어마어마하게 컸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어요.

<퀘찰코아틀루스 두 마리가 먹잇감을 찾아 하늘 날아다니는 모습(위),

경북 군위 익룡발자국을 바탕으로 세계 최대 크기의 익룡 복원 모습(아래). 사진제공. 임종덕>


지금까지 몸집이 가장 큰 익룡으로 알려진 것은 미국 백악기 후기지층에서 발견된 케찰코아틀루스(Quetzalcoatlus)입니다. 이 익룡은 양 날개를 편 길이가 12m나 되는데요, 이런 거대한 익룡들은 아마 길고 큰 주둥이를 이용해 먹기 편하고 사냥하기 쉬운 동물을 닥치는대로 잡아먹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주로 작은 파충류, 물고기, 그리고 공룡까지 공격했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이번에 군위에서 발견된 익룡발자국 화석은 거대한 익룡이 공룡을 공격했을 가능성을 높여줍니다. 거대한 크기의 익룡발자국 화석이 발견된 지점 바로 옆에 ‘작은 크기의 공룡발자국’ 화석이 여러 개 발견됐기 때문입니다.


작은 공룡발자국의 주인공들이 당시 호숫가 주위에서 먹이를 찾거나 물을 먹기 위해 왔다가 발자국을 남겼고, 이들이 뛰어놀고 있던 순간에 거대한 익룡이 하늘을 날아다닌 것입니다. 익룡은 적당한 기회를 포착해 날렵하게 공격을 감행했을지도 모릅니다. 공룡들에게 그 곳이 ‘놀이터’였으나 익룡에겐 ‘먹이 사냥터’였던 셈입니다.


하지만 아직 위의 가설을 확신할 수는 없습니다. 거대한 몸집의 익룡이 재빠르게 움직이고 도망가는 공룡을 사냥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분명 가까운 거리에 어미공룡이나 다른 무리의 공룡들이 함께 있었을테니 공격을 시도하기 위험했을 것입니다. 익룡은 자신의 먹잇감을 안전하게 잡기 위해 쉽고 편안한 상대를 신중하게 선택했지 않을까요?


아마 여러 마리의 공룡이 지나갈 때 아주 어린 새끼공룡이나 늙거나 병든 공룡을 하늘에서 지켜보다가 기회가 오면 한 마리만 집중공격해서 사냥하는 방식을 택했을 것 같습니다. 지금의 아프리카 늪지대에 사는 악어나 밀림의 제왕 사자들이 지나가는 초식동물을 사냥하는 방법과 똑같은 방식으로 말입니다.


사냥하는 것에 실패했다고 해서 크게 실망할 필요는 없습니다. 힘든 사냥보다는 이미 죽어서 시체가 된 공룡을 찾아 천천히 땅위로 내려온 후, 만찬을 즐기는 것도 나쁘지 않을테니까요. 이렇게 잠시 식사를 즐기기 위해 땅 위를 걸어다니던 발자국. 그렇습니다, 이들이 오늘날의 화석으로 발견된 것이지요.


해남, 하동, 사천, 거제에 이어 군위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익룡발자국 화석들이 계속 발견되고 있습니다. 혹시 중생대 한반도는 익룡들의 낙원이 아니었을까요? 익룡발자국의 크기와 발견된 장소의 특징을 살펴보며 과거 한반도의 익룡들은 어떤 모습일지 또 어떻게 살았을지 상상해보는 것도 참 즐거울 것 같습니다.


- 글 : 임종덕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 (척추고생물학)
- 기사 제공: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과학향기’

위 기사의 사진 / 동영상은 CCL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KISTI

추천 리스트 프린트

 
문병현
인천서곶초등학교 / 2학년
2009-12-21 20:35:48
| 오오오오오 그렇군요 제가 공룡을 좋아하거든요 앞으로 좋은 글 많이 써 주세요
신민주
과천중학교 / 1학년
2009-12-27 11:28:41
| 와.....신기하네요^^
정말 흥미롭게 읽었어요
김가영
이리부송초등학교 / 6학년
2010-01-20 22:32:40
| 세계에서 가장 큰 익룡의 발자국 길이 354mm나 된다는데, 몸체가
정말 어마어마 할 것 같아요. 잘 읽었습니다.
이채현
송현여자중학교 / 2학년
2010-03-29 17:07:23
| 하하... 가영 기자님... 354mm가 아니고 354cm입니다.;;
봉준한
운중중학교 / 1학년
2010-04-04 10:54:57
| 역시 익룡은 크고도 멋진갓 같네요
추천하고 갑니다.
 

 

렌즈속세상

놀이터


Template_ Compiler Error #10: cannot write compiled file "/web/webapp/data/ipress/iprdata7/e3/school.president.go.kr_paper/template/kr/_compile/group/114/1/bottom.htm.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