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66호 9월 1일

책읽는세상 추천 리스트 프린트

나찬혁 기자 (동화초등학교 / 4학년)

추천 : 70 / 조회수 : 969

뉴스 공유하기 C
					로그 미투데이 트위터 Facebook

식물과 함께 사는 행복한 지구

얼마 전 화성 청소년 수련관에서 식물의 한살이를 배우기 위해 피망을 키우기 숙제를 내주었다. 피망을 기르면서 물을 때맞게 주어야 하기 때문에 키우기가 귀찮았고 매일 보고서를 써야해서 힘들었다. 내가 좋아하는 고기반찬도 아니어서 관심도 가지 않았지만 어쩔 수 없이 숙제이기 때문에 키워야 했다.

하지만 <어린이를 위한 식물의 역사와 미래> 책을 읽어 보니까 식물에 대한 생각이 달라졌다. 야채라면 피자에서도 골라낼 정도로 정말 싫어하는데 식물에게 무슨 역사과 미래가 있을까 궁금증 때문에 읽어보게 되었다. 움직이지도 소리도 못내는 식물에게 역사와 미래가 있다니 이해가 되지 않았다.

식물에게도 어마어마한 나이가 있었다. 약 35만 년 전부터 시작되었다. 최초의 식물은 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는 박테리아다. 박테리아는 광합성을 하는 남조류가 발달해서 바다속에서 산소를 만들었다. 지구에 산소가 있는 것은 박테리아가 산소를 뿜었기 때문이다. 박테리아는 세균이다. 좋은 세균은 발효가 되어 사람에게 도움을 주는 것도 있다. 그러나 나쁜 세균은 사람에게 병을 일으킨다. 이런 박테리아들이 지구의 산소를 처음 만들었다니 고맙지만 이상하기도 했다.

달에 산소를 만드는 박테리아를 가지고 간다면 사람이 숨을 쉴 수 있는 위성도 될 수 있을 것 같다. 오랜 시간이 흘러 식물은 좀 더 복잡한 생명체로 발달했다. 식물이 육지에 올라오고 지구에 식물이 번성하였다. 최초로 육지에 간 식물은 꽃 없는 원시식물이다. 그리고 이끼나 지의류가 등장하고 그러고 나서 침엽수가 육지에 퍼졌다.

침엽수는 씨앗덕분에 엄청난 추위에도 후손을 퍼뜨릴수 있게 되었다. 드디어 꽃을 필수 있는 식물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것은 엄청난 사건이다. 왜냐하면 식물의 결정판인 꽃이 있기 때문이다. 꽃이 수분하고 열매를 맺고 씨앗을 퍼트려 식물들이 지구에 가득해졌다. 오랜 옛날 사람들은 그들이 먹는 식물 때문에 문명을 일으키고 자연환경을 이겨가면서 살아왔다.

식물이 변화하는 동안 사람들의 역사도 식물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식물은 사람들의 중요한 식량이 되었고 콜럼버스는 음식에 넣는 향신료 무역을 위해 바닷길을 개척하다가 신대륙을 발견했던 것이다. 그후 세계 여러 지역에 신대륙의 식물들이 전파되고 오늘과 같이 전세계에 여러 식물들이 재배되었다.

사람들의 삶은 편리해지고 풍요해졌지만 식물들은 행복하지 않았다. 동물만 멸종하는 것은 아니다. 식물도 멸종되거나 천연기념물처럼 보호하는 것이 많다고 한다. 사람들이 욕심을 내서 공장을 만들고 아파트를 짓게 되자 도시는 늘어만 갔다. 점점 사람들이 식물들 사는 곳에 침입하면서 식물들은 쫒겨나고 식물들 중에는 사라지는 것도 생겼다.

나는 야채반찬을 좋아하지는 않지만 식물에게 피해는 주지 않는다. 괜히 식물에게 미안한 마음이 든다. 산소도 주고 식량도 주고 약도 주고 나무도 주는데 사람들은 식물들은 괴롭히고만 있다. 우리집 피망은 이제 제법 컸다. 날마다 물관리 해주고 보고서도 써야 하지만 내가 안보는 밤에만 크는지 잘자라고 있다.

식물들이 주는 고마움은 사람들에게 보이지 않지만 매일매일 좋은 일을 한다. 우리가 못보는 사이 사람들을 위해 산소도 만들고 열매도 맺고 가구가 되어준다. 우리가 식물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그냥 내버려 두는 일이라고 한다. 식물을 볼 때 사람의 욕심으로 바라보지 말고 그냥 그 자리에서 잘 살고 있을 수 있도록 내버려 두는 것이다. 그리고 살고 있는 땅의 주인으로 인정하고 사람과 가까운 이웃처럼 살펴 보는 일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식물사랑이다.


오늘도 화내지 않고 움직이지 않고 제자리에서 열심히 버티고 있는 식물에게 고맙다고 해주고 싶다.

나찬혁 기자 (동화초등학교 / 4학년)

추천 리스트 프린트

 
 

 

렌즈속세상

놀이터


Template_ Compiler Error #10: cannot write compiled file "/web/webapp/data/ipress/iprdata7/e3/school.president.go.kr_paper/template/kr/_compile/group/79/1/bottom.htm.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