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58호 5월 5일

과학향기 추천 리스트 프린트

구준현 나누리기자 (성남정자초등학교 / 5학년)

추천 : 408 / 조회수 : 5052

뉴스 공유하기 C
					로그 미투데이 트위터 Facebook

IT의 중심 KAIST! OPEN KAIST로 알아보다.

지난 11월 4일과 5일 대전 카이스트에서 2010 오픈 카이스트 행사가 있었습니다. 세계 최고의 과학기술대학을 지향하며 정진하고 있는 KAIST에서는 미래 한국을 이끌어 갈 청소년들에게 과학기술에 대한 꿈과 희망을 심어주기 위해 개최하였습니다. KAIST대학에서 우리 나라 과학 발전에 관심있는 학생이나 일반인들을 위해서 2년에 한번씩 학교에 초대하여 학과 소개 및 연구 과정을 보여주는 행사입니다.

카이스트에서는 오늘도 역시 연구하고 또 연구하였습니다. 그런데 카이스트에서 연구한 것들중에서 내 눈길을 끈 것은 전기 및 전자공학과의 UFC(Ubiquitous Fashionable Computer)입니다. 그 것은 옷에 아주 작은 컴퓨터를 부착을 하여 그 옷을 입고 팔을 전달하고 싶은 컴퓨터를 향해 팔을 뻗으면 그 컴퓨터는 자신의 앞에 있는 컴퓨터, 스크린등에서 사진,동영상등을 전송 하거나 받아올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카이스트 학생들이 실현하는 모습은 마술 같았습니다. 그것이 실용화 되면 매우 편리할 텐데 아직은 실용화 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두번째로 내 눈길을 끈 것은 그것이 실용화 되면 좋을 것 같아서가 아니라 신기해서 입니다. 그것은 카이스트의 로봇 동아리 미라지라는데서 만든 로봇인데 매우 신기했습니다. 카멜레온처럼 몸 색깔이 변하는 로봇 그리고 펜을 그려 놓으면 펜 자국을 경로로 삼아서 움직이는 로봇들이 있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바이오 및 뇌공학과에서는 신경 세포와 신경세포칩에 대하여 설명하고 실제 쥐의 뇌로부터 신경세포를 추출하여 신경세포칩에 배양하는 기술을 소개 하였습니다. 배양된 신경 세포로부터 나오는 신호를 기반으로 움직이는 로봇을 제어해보고, 7층에 있는 신경공학 연구실로부터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되어, 최종적으로 1층 로비에 있는 로봇에게 전달하는 시연을 보여주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사람이면 누구나 아는 유명한 사람로봇(HUBO)이 저의 발길을 멈추게 하였습니다. 왜냐하면 이번에 HUBO2가 나왔는데 HUBO 2는 뛸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 HUBO2처럼 뛸 수 있는 로봇이 세계에서 단 3개뿐이라고 하는데 그런 점에서는 HUBO2가 자랑스러웠습니다. 뛴다는 의미는 두발이 모두 공중에 떠있는 순간이 있다는 뜻이라서 쉽지 않은 연구라고 하셨습니다.

그밖에도, 항공 우주 공학과의 달 착륙선, 첨단무인 헬리콥터, 무인자동차와 같은 연구 성과물도 인상적이었습니다.


모두 다 돌아볼 수 없을 정도로 각 과에서 다양한 학과 소개 프로그램, 흥미진진한 연구 성과 및 과학을 주제로 펼치는 이벤트를 통해 행사에 참여하신 분들께 과학 기술을 선도하는 KAIST의 현주소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했다고 생각합니다.

구준현 나누리기자 (성남정자초등학교 / 5학년)

추천 리스트 프린트

 
김찬민
포항중학교 / 1학년
2010-11-26 22:17:37
| 과학이 바로 미래의 해답이라고 생각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정유진
광신중학교 / 1학년
2010-11-27 23:31:32
| HUBO2를 꼭 보러 가고 싶네요.^.^ 같이 달리기 경주를 할 수 있을까요?^.^기사 잘 읽었습니다.^.^
김의중
서울동자초등학교 / 6학년
2010-12-01 18:57:51
| 이런 멋진 행사가 있었다니...모두들 어떻게 알고 갔을까 궁금합니다..
전현환
대륜중학교 / 1학년
2010-12-12 18:50:00
| 카이스트의 축제가 정말 멋지네요. 이렇게 멋진 행사를 어떻게 아셨을까요?
 

 

렌즈속세상

놀이터


Template_ Compiler Error #10: cannot write compiled file "/web/webapp/data/ipress/iprdata7/e3/school.president.go.kr_paper/template/kr/_compile/group/71/1/bottom.htm.php"